대정부질문, 정운찬의 선택은.

세종시 수정 논란을 둘러싼 여권 내홍이 격화되면서 정운찬 국무총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의 '잠룡(潛龍)'으로 꼽히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정 총리가 세종시 논란의 전면에 서면서부터다.

이들의 맞대결 양상은 정 총리가 지난달 29일 박 전 대표의 '원안 고수' 입장에 대해 대화를 통해 설득하겠다고 언급한 게 발단이 됐다.

이에 박 전 대표는 지난달31일 부산방문자리에서 "세종시는 국회가 국민과 충청도민에게 한 약속이지 개인 약속이 아니다"며 '수정 추진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급기야 친박계인 이성헌 제1사무부총장도 정부의 세종시 수정 드라이브에 불만을 품고 당직을 전격 사퇴하는 등 여당 내부에서 의견대립이 격화되면서 감정싸움 양상으로 비화되고 있다.

이때문에 오는 5일 시작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정 총리가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 주목되고 있다.

그 내용에 따라 여야간 대치 수준은 물론, 총리와 여당 '실력자'간 갈등 및 여당 내부 대립을 가늠하는 변수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 총리는 앞으로도 수정을 추진하기 위한 정면 돌파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주변의 만류에도 30일 세종시 건설현장인 공주시와 연기군을 방문하고 '세종시 원안 사수'를 주장하며 단식 중인 유한식 연기군수 등을 면담하는 등 세종시 수정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대정부질문에서 정치권은 물론, 국민에게 '수정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초안' 수준의 세종시 구상을 공개할 가능성이 있다.

총리실 관계자는 "세종시 초안은 대정부질문 즈음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초안의 내용은 정 총리가 세종시 건설현장에서 "기업이 입주하기 좋은 곳이어서 자족도시를 만들기 좋다"고 언급한 것을 비춰 기업·교육·과학을 중심으로 한 '기업도시' 형태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국책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은 교육과학기술부와 국토해양부의 의뢰를 받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용역을 수행, 세종시를 유력 후보지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예상했던 '녹색도시'의 형태는 "녹색도시는 모든 분야에 걸쳐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다(정부관계자)"는 이유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정부질문에서 세종시 수정 초안이 제시되면 총리실이 자문기구 성격의 가칭 세종시위원회와 실무기구인 세종시 태스크포스(TF), 그리고 한나라당이 세종시 관련기구를 출범시켜 당정이 보완관계를 가지면서 본격적인 여론수렴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공청회나 토론회도 열릴 수 있다.

정 총리는 세종시 수정안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 재가를 얻어 공식 발표한 뒤, 여야 정치권과 세종시 등 충청지역을 잇따라 방문해 설명회를 갖고 설득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세종시 수정문제는 내년 초로 넘어가는 한이 있더라도 대안 마련과 국민설득 작업에 노력을 기울이는 쪽으로 갈 것이란 전망이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