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女 미혼율 급증..저출산 핵심 원인"

  • 부산 중구.서울 강남 저출산 1~2위<BR> 고학력.남아선호 현상 출산력 증감 영향 감소

출산 연령대인 30대 여성의 미혼율이 2000년 이후 5년만에 2배이상 증가하면서 저출산 현상의 핵심 원인으로 떠올랐다.

통계개발원이 11일 발표한 '한국의 차별 출산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0~2005년 사이 미혼 여성 비율은 30~34세가 10.5%에서 19.0%로, 35~39세가 4.1%에서 7.6%로 5년만에 거의 배로 증가했다.

도시지역의 미혼율은 심각했다. 미혼여성 비율 상위 1~3위는 서울 강남구(21.0%), 대구 중구(20.8%), 부산 중구(18.1%)였고 하위 1~3위는 전남 무안군(0.8%), 울산 북구(1.5%), 충북 증평군(1.9%)였다. 기혼자의 출산율이 유지되더라도 미혼율이 10% 증가하면 합계출산율도 10%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고학력.전문직 미혼 여성이 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40~44세인 미혼여성의 대학원졸 비율(5.2%)은 기혼 유자녀 남성(4.1%)을 앞질렀고, 30~34세 여성 중 관리.전문직 비율은 미혼(27.4%)이 기혼 유자녀(9.7%)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반면 여성의 고학력과 남아선호 현상이 출산력 증감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었다.

교육 수준 및 직업별 출산율은 40~44세에서는 출생아 수가 초졸 이하 2.10명, 중졸 2.00명, 고졸 1.95명, 대졸 1.91명으로 하향평준화 경향이 강해졌다. 초졸 이하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55~59세 2.99명, 40~44세 2.10명을 기록할 정도로 저학력 인구 집단의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했다.

직업별로도 출산력이 가장 낮은 관리.전문직 여성과 다른 직업과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었다. 40~44세 여성층에서 관리.전문직의 평균 출생아 수가 1.89명인데 비해 기능.노무직은 1.97명으로 격차가 많이 줄었다. 출산율이 가장 높았던 농림어업직군의 출산율도 크게 떨어졌다. 이 직군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55~59세 3.44명에서 40~44세 2.33명으로 급감했다.

출산순서별로 여-여-남아와 여-여-여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37.3%, 16.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남-남-여아인 비율은 7.8%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여-여-남아인 구성비율이 45~49세에서 48.9%, 35~39세 34.6%, 25~29세 21.6%로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남-남-여아와 여-여-남아 간 비율이 45~49세에서는 각각 4.5%와 48.9%로 10배 이상 차이난 반면, 25~29세에서는 10.5%와 21.6%로 배 정도의 차이에 그쳤다.

통계개발원은 "미혼율의 증가로 기혼 여성의 출산율 조절만으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남아선호가 추가적인 출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젊을수록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