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최근 주주총회에서 금융감독원 출신 인사들을 잇따라 이사회 구성원으로 선임해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다.
4일 증권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을 비롯해 현대증권, 동부증권, 신영증권, HMC투자증권, KTB투자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등은 최근 주총에서 금감원 출신 인사들을 감사위원으로 신규 선임했다.
이들 증권사가 선임한 인사들은 대부분 감독 당국인 금감원 실장이나 국장, 부원장보 등 간부직을 역임했으며, 일부는 팀장 출신도 있다. 또 과거 재정경제원이나 기획예산처, 산업은행, 법조계 출신 인사도 일부 포함됐다.
이에 대해 해당 증권사들은 대체로 "필요에 의해 선임했다"는 입장이다.
모 증권사 임원은 "금융 당국 출신이 불건전 경영을 누구보다 잘 예방할 수 있고, 정부의 금융정책과 관련해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감독 당국 출신의 인사가 업계에 내려오는 만큼 '낙하산' 또는 '방패막이용'이라는 비판과 우려 또한 만만치 않다.
금융 당국 출신으로서의 경험과 노하우 활용 측면보다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일종의 로비창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개혁연대 김상조(한성대 교수) 소장은 "전문적 지식과 경험 활용보다는 로비 창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산업 발전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과거 함께 일하던 선배가 증권사에 옮겨온뒤 감독당국에 재직중인 후배에게 각종 부탁을 했을 때 이를 무조건 외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른바 '전관예우'를 우려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