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매각 '물거품' 될 듯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결국 성사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한화그룹은 산업은행에 지분 분할 인수 방안을 수용해줄 것을 최종 요구했다. 이는 사모투자펀드(PEF)를 통해 한화 자산을 매입하는 방식을 제안한 산업은행의 제안을 거절한 것이다.

한화 관계자는 "산업은행의 PEF 매입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이라며 "대우조선 지분 51% 중에서 30.2%만 우선 인수하고 나중에 잔여 지분을 매입하는 분할 인수 방안이 그룹의 최종 입장"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다음주 중 이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대우조선 매각은 결국 없었던 일이 될 전망이다.

이번 매각이 무산될 경우 대우조선해양 인수 가격은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최근 경기 상황이 크게 악화되면서 한화그룹이 제시한 인수금액(6조원 상당)의 절반 정도에서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이번 매각을 반드시 성사해야 할 입장이다.

그러나 한화의 최종안을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분할 인수를 수용할 경우 입찰 과정에서 경쟁기업들도 이를 활용해 더욱 적극적인 가격을 제시했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특혜 시비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이미 포스코-GS 컨소시엄 파기로 인해 포스코 단독 입찰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바 있다. 또한 이미 거절한 바 있는 분할 인수 안을 다시 받아들이는 것도 부담이다.

이번 매각 무산이 확실시 되면서 양사의 쟁점은 이행보증금 반환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한화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실사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을 물어 3000억원 상당의 이행보증금 가운데 일부를 반환받기 위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실사 업이도 본계약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만큼 반환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경제 위기로 인해 자금 조달이 어렵고, 대우조선해양의 가치 역시 하락해 한화가 내부적으로 매각 포기를 결정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며 "결국 협상이 결렬될 경우 양사 모두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설것"이라고 전했다.

이하늘 기자 eh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