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속보] 트럼프 "미중, 이미 많이 합의했고 지금 더 합의할것" 트럼프 "미중, 이미 많이 합의했고 지금 더 합의할것" 2025-10-30 11:22:10
  • [속보] 트럼프, 시진핑에 "우리관계, 오랜기간 환상적일것" 트럼프, 시진핑에 "우리관계, 오랜기간 환상적일것" 2025-10-30 11:21:25
  • [속보] 시진핑 "중미 관계 안정적…모든것 동의하지 않는것도 정상" 시진핑 "중미 관계 안정적…모든것 동의하지 않는것도 정상" 2025-10-30 11:21:06
  • 트럼프·시진핑, 美·中 정상회담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오전 부산 김해국제공항 의전실 '나래마루'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중국 관영 CCTV는 두 정상이 부산 김해공군기지 나래마루에서 회담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악수하며 "매우 성공적인 회담이 될 것임을 의심치 않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을 향해 "그는 매우 강한 협상가이다"며 "그것은 좋지 않다. 우리는 서로를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 2025-10-30 11:19:41
  • [속보] 트럼프, 시진핑과 악수하며 "매우 성공적 회담될 것" 트럼프, 시진핑과 악수하며 "매우 성공적 회담될 것" 2025-10-30 11:16:52
  • [속보] 트럼프, 시진핑에 "매우 강경한 협상가"…"그건 안좋아" 조크 트럼프, 시진핑에 "매우 강경한 협상가"…"그건 안좋아" 조크 2025-10-30 11:16:33
  • [속보] 트럼프, 미중 협상 타결 가능하냐 묻자 "그럴 수 있다" 트럼프, 미중 협상 타결 가능하냐 묻자 "그럴 수 있다" 2025-10-30 11:16:14
  • [속보] "美中정상회담 부산서 시작" <中CCTV> "美中정상회담 부산서 시작" <中CCTV> 2025-10-30 11:01:51
  • "美, 中 남중국해 도발에 맞서 '무력시위' 작전 준비" 미국이 오는 30일 부산에서 개최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의 남중국해 도발에 대응해 무력시위 작전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CBS뉴스는 29일(현지시간) 미군 인도태평양사령부가 최근 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군사적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정밀타격 시범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다만, 해당 작전이 실제로 언제 실행될지는 불투명하며, 군사작전 특성상 직전에도 취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 2025-10-30 11:00:34
  • 트럼프, 미·중 정상회담 직전 "美 국방부에 핵 실험 재개 지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전쟁부(국방부)에 핵 실험 재개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오전 10시께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더 많은 핵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며 "이는 나의 집권 1기 시절 기존 (핵) 무기의 전면적 업그레이드와 개·보수 작업 등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 (핵무기의) 막대한 파괴력 때문에 나는 이것을 하고 싶지 않았지만 어쩔 2025-10-30 10:55:20
  • GM, 전기차 수요 둔화에 3300명 해고 계획...LG엔솔 합작 공장도 일시 중단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EV) 수요 둔화와 규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1월부터 미시간, 오하이오, 테네시주 등 미국 전역에서 총 3300명 이상을 해고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 이상인 1700명은 무기한 해고되며, 나머지 1500명은 내년 중반께 복귀할 전망이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GM은 "단기적인 전기차(EV) 보급 속도 둔화와 규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전기차 생산능력을 조정하고 있다"며 감원 계획을 밝혔다. 우선 GM 2025-10-30 10:34:34
  • 트럼프, 韓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외신 "오랜 숙원 실현됐지만 中 자극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외신들은 한국의 오랜 숙원이 실현되는 동시에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 대통령은 전날 경주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원자력을 동력으로 하는 핵추진 잠수함과 관련해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에 대한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q 2025-10-30 10:29:12
  • 美 상무 "韓, 시장 100% 개방…상호·車 관세 15%, 반도체 관세는 미포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방한 중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미 무역협상 타결로 인해 한국이 자국 시장을 100% 개방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는 15%가 적용되고, 반도체 관세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러트닉 장관은 30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 간 정상회담 결과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 투자는 대통령의 지휘와 승인 2025-10-30 10:22:43
  • [속보] 美상무 "한국 핵잠, 韓조선업체들이 필라델피아서 건조" 美상무 "한국 핵잠, 韓조선업체들이 필라델피아서 건조" 2025-10-30 10:04:38
  • [속보] 美상무장관 "반도체 관세는 한미합의에 포함안돼" 美상무장관 "반도체 관세는 한미합의에 포함안돼" 2025-10-30 10:01:40
  • [속보] 美상무 "韓투자금 중 2천억불, 알래스카천연가스관·AI 등에" 美상무 "韓투자금 중 2천억불, 알래스카천연가스관·AI 등에" 2025-10-30 09:59:58
  • 외신 "한국, 대미 무역협상서 일본보다 유리한 조건 확보" 한국과 미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수개월간 이어온 무역 협상을 마무리하자, 외신들은 이를 일본보다 유리한 조건을 확보한 의미 있는 외교적 성과로 평가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9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이 수개월간의 줄다리기 끝에 합의를 이뤘다며 관련 소식을 전했다. NYT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많은 양보를 얻어냈고, 전반적으로 덜 부담스러운 협상을 성사시켰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대미 투자금이 3500억달러(약 500조원)로 일본의 5500억달러(약 791조원)보다 적 2025-10-30 09:59:39
  • [속보] 美상무장관 "한국, 시장 완전 개방에 동의" 美상무장관 "한국, 시장 완전 개방에 동의" 2025-10-30 09:5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