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체포·검거는 입에 밴 말"…체포조 의혹 부인

  • "계엄 걸리자 혼란스러워 말했다"…합수본 인력 요구는 "실수"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서울중앙지법 제공]
비상계엄 시기 ‘정치인 체포조’ 논란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27일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사건 재판에 출석해 "체포, 검거 이런 말은 입에 배어 있다"며 의혹을 부인하는 취지로 증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체포조 운영이 없었다는 진술을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여 전 사령관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상황에서 체포조 운영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군인들은 체포, 검거, 공격해, 쳐부숴 같은 말은 입에 배어 있다"며 "저도 모르게 한 말이 있고, 저도 나중에 보니까 ‘이때 이런 말을 왜 썼지’ 싶은 말도 있다"고 진술했다.

또 체포 대상자로 거론된 인물에 대해 위치 추적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추적은 트래킹이라 불가능하고 정확히 ‘확인’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며 "이 사람들 어디 있을까를 물어봤다가 가장 자연스러운 말"이라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여 전 사령관과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 메모의 이름이 일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며 "한 사람으로부터 지시가 내려온 거면 명단이 같아야 하는데 여기저기 흘러다니는 것을 종합하다 보니 다른 것 아니냐"고도 질문했다.

이에 여 전 사령관은 "(명단은) 장관한테 들었다. 끄적끄적 썼고 김대우한테 불러줬고 김대우는 돌아가서 화이트보드에 적어놨다"고 답했다.

이날 특검은 재주신문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지난 공판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에게 '위치 추적은 영장 없이 안 된다. 대통령은 검찰총장까지 지낸 사람인데 어떻게 이런 걸 시키고 여 전 사령관은 이런 걸 부탁한다는 게 연결이 안 되지 않느냐'고 말한 장면이 담긴 영상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특검이 '지시 없이 이런 일을 했느냐'고 묻자 여 전 사령관은 "전 지시 받는 입장이라고 분명히 말했다"고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작년 11월 9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몇몇 이름을 직접 들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그냥 적고 끝난 것이다. 그게 제 마음속에 있었으면 왜 한 달 동안 아무것도 안 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계엄 발령 이틀 전 김 전 장관에게 "계엄은 불가능하다고 명백히 말씀드렸다"며 "비상계엄, 대권 등을 언급해 식탁 유리를 꽝 치며까지 말했다"고 증언했다.

여 전 사령관은 당시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에 인력 100명씩을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엄청나게 당황해서 실수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군인들은 연말쯤 되면 한해 훈련을 종합해서 작전계획을 새로 만드는데 내부적으로 합동수사본부를 만들려면 경찰 100명, 조사본부 100명(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했었다"며 "막상 비상계엄이 걸리니 당황하고 혼란스러워서 생각도 못 하고 머릿속 말을 실수로 했다"고 부연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이 마당에 대통령님 편을 들 것 같나. 특검 편을 들 것 같나"라며 "천만에. 나는 첫째, 하나님 편이고 둘째, 국민들 편이고 셋째, 사랑하는 전우들 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증인으로 나온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에게 윤 전 대통령 측은 "김용현이 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이 의원들 출입하는 건 막지 말라'고 말했는데 알고 있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에 김 전 청장은 "듣지 못했다"고 답했다.

한편 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공판 시작 전 지난 재판에서 방청객 사이에 허가 없는 촬영을 둘러싸고 발생한 시비에 대해 "탄원서를 제출한 분께 법정 질서를 유지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이후로는 그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저 때문에 오신 분들한테 당부 말씀드려도 되겠습니까"라고 묻자, 지 부장판사는 "피고인께서 그런 말씀하시는 건 적절하지가 않은 것 같다"며 제지했다.

재판부는 전날 공판준비기일에서 윤 전 대통령 사건을 다음 달 29일 열리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사건과 병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내년 1월 초 변론을 종결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