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이날 여수 국가산업단지에서 열린 '여수 석유화학기업 사업재편 간담회'에서 "나프타분해시설(NCC)을 보유한 석유화학 기업의 사업재편 시한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며 "사업재편 계획서 제출 기한을 연장할 계획은 없다"며 신속한 사업재편을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추진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구조개편 3대 방향과 정부지원 3대 원칙을 제시한 뒤 사업재편 계획서 제출 시한을 12월 말로 못박았다.
구조개편 3대 방향은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 정부지원 3대 원칙은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개편 동시 추진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계획 마련 △정부의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이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대산이 사업재편의 포문을 열었다면 여수는 사업재편의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며 "시한을 맞추지 못하면 향후 대내외 위기에서 각자 도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석유화학기업들이 사업재편계획서를 제출하면 신속한 심의 절차에 나설 예정이다. 또 사업재편계획서의 구체성, 자구노력의 타당성 등을 종합 고려해 사업재편승인 시점에 정부지원방안도 함께 발표한다. 이와 함께 조만간 '화학산업 R&D(연구개발) 투자로드맵'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고부가 전환 방향을 제시하고 대규모 R&D 사업을 기획해 사업재편 이행기업에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김 장관은 또 LG화학 산업현장을 찾아 생산·안전관리 현황 등을 종합 점검했다. 그는 "LG화학은 국내 석유화학기업 중 최고 수준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선도기업"이라며 "이번 사업재편을 통해 기존 설비의 합리화 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표 고부가 스페셜티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투자해 줄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생산과정에서 직원 뿐만 아니라 협력업체 직원들도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진행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여수산단 화학기업, 유지보수 등 협력업체와 율촌산단 철강제품 생산기업 등 '석유화학·철강산업 생태계 유관 기업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기업 부담에 대해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향후 요금조정은 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전력당국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난 21일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석유화학 특별법은 내년 1분기 중 시행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주한미대사관 내 설치된 비자발급 지원 전담 데스크, 무역보험공사를 통한 수출금융 지원상품 등을 통해 기업들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석유화학·철강 불황으로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점차 가시화되는 만큼 정부는 관련 지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과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며 "지역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의 축을 세울 수 있도록 5극 3특 권역별 성장엔진을 선정하고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