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누적)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45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명(3.2%) 증가했다. 사고 건수 역시 440건으로 1년 전보다 29건 증가했다.
재해조사 대상 사망 사고 통계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근로자 사망 사고 중 사업주의 법 위반 없음이 명박한 사례를 제외하고 집계된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210명으로 7명(3.4%) 늘어난 반면 제조업은 119명으로 15명(11.2%) 증가했다. 기타업종은 128명으로 22명 늘었다.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기타업종에서 사업장 규모가 영세하고 안전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소매업(20명)과 농림어업(19명)에서 전년 대비 각각 11명, 10명 증가했다. 특히 기타 업종의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사망자는 42명으로 1년 전보다 16명 증가했다.
건설업은 지난 2월 발생 6명이 사망한 기장 화재사고와 4명이 사망한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의 여파로 사망 사고가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특히 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5인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 사망자 숫자가 19명 늘어난 91명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기조에도 사고 사망이 줄어들지 않자 정부는 비상에 걸렸다. 노동부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4분기에는 중대재해가 감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 중심으로 산재예방활동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우선 10월 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해 소규모 건설현장과 도·소매업 등 기타 업종을 대상으로 집중 점검을 추진한다. 사망사고가 늘어나는 세부 분야의 특화 정책을 마련하고 행정령이 미치지 못하던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와 지자체 합동 점검 등 기관 협업에도 나선다.
류현철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일정한 여력이 있는 사업장은 현재 기조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역량을 갖추는 부분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며 "노동자들이 위험해지게 되면 기업들도 위험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 관철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책임을 지우는 기조와 함께 작은 사업장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용감을 주는 지원도 준비해 성과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