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폭 둔화 지속…"한강벨트 오름폭 다시 커져"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폭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매물 공급까지 묶이면서, 주요 지역의 오름세는 크게 완화되지 않는 모습이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의 11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7% 상승했다. 오름폭은 직전 주 0.19%에서 0.02%포인트 줄었지만 상승폭 둔화는 제한적인 상황이다.
 
특히 한강벨트 자치구는 오름폭이 다시 붙는 양상이다. 성동구(0.37%)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을 0.08%포인트 다시 키운 것을 비롯, 용산구(0.23%→0.31%), 서초구(0.16%→0.20%), 송파구(0.43%→0.47%) 등의 가격 오름세가 직전 주보다 상승했다. 광진구(0.15%)와 마포구(0.23%)는 직전 주와 상승폭이 동일했다.
 
부동산원은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가 이어지며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일부 선호 단지 및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권에서는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묶인 과천시(0.44%→0.40%), 성남시 분당구(0.59%→0.58%) 등의 상승세가 소폭 꺾였지만, 인접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상황이다.
 
비규제지역 중 풍선효과 대표 지역으로 지목된 화성시(0.26%→0.25%)는 직전 주와 상승폭 차이가 미미했다. 반면 수원시 권선구(0.13%→0.21%)와 용인시 기흥구(0.21%→0.30%)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경기도 전체 상승률은 0.10%로 직전 주 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인천은 0.05%에서 0.04%로 역시 0.01%포인트 축소된 상황이다. 수도권 전체로는 0.13%에서 0.11%로 상승폭이 떨어졌다.
 
지방(0.01%)은 직전 주 100주 만에 상승 전환한 후 이번 주에는 동일 상승률을 이어갔다. 5대 광역시(0.01%)는 전주와 상승률이 동일했고, 세종(0.02%)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다. 8개 도(0.01%) 역시 직전 주와 같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올랐고, 상승폭은 직전 주 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직전 주와 동일한 0.08% 상승률을 이어갔다.
 
서울(0.15%)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학군지 등 선호 단지 위주로 수요가 이어지며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서울 외 인천(0.06%→0.08%)과 경기(0.09%→0.10%) 등 수도권 전체의 전세가격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로는 직전 주와 동일한 0.11% 상승률을 나타냈다.
 
지방(0.05%→0.04%)은 5대 광역시가 0.06%, 8개 도는 0.01% 올랐다. 세종(0.49%)은 거주 여건이 좋은 단지 위주로 수요가 증가해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