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오전 광주 북구 건국동 북광주농협 우치동지점에서 북구청 직원들이 올해 수확한 벼의 품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벼 재배면적이 1년 전보다 2만ha 감소한 67만8000ha로 집계됐다. 정부는 지난해 쌀 초과 생산을 줄이기 위해 벼 재배면적 8만ha 감축을 내세웠지만, 목표치의 4분의 1수준에 그쳤다.
국가데이처가 13일 발표한 '2025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67만8000ha로 전년(69만8000ha)대비 2만ha(2.9%) 감소했다.
재배면적은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데이터처는 쌀 수급균형을 위한 전략작물직불제, 논 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했다. 지난해 쌀 생산량에 따라 지자체별로 줄여야 할 할당 면적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목표했던 면적보다 많이 못 줄인 것은 사실"이라며 "당초 목표했던 8만ha 중에 2만~3만ha는 다른 작물을 심다가 벼를 심는 회귀 면적 방어, 5만~6만ha는 실제 벼 면적 감소로 계획했지만. 전략 작물 직불제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면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쌀 생산량은 4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쌀 생산량은 353만9000t으로 전년(358만9000t)보다 4만5000t(1.3%) 감소했다. 데이터처는 "벼 재배면적 감소로 쌀 생산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증가했다. 10a당 생산량은 전년(514kg)보다 1.7% 증가한 522kg로 집계됐다. 생육 전반의 기상여건이 전년에 비해 양호하고 벼멸구등 병해충 피해가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가데이처가 13일 발표한 '2025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67만8000ha로 전년(69만8000ha)대비 2만ha(2.9%) 감소했다.
재배면적은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데이터처는 쌀 수급균형을 위한 전략작물직불제, 논 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했다. 지난해 쌀 생산량에 따라 지자체별로 줄여야 할 할당 면적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쌀 생산량은 4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쌀 생산량은 353만9000t으로 전년(358만9000t)보다 4만5000t(1.3%) 감소했다. 데이터처는 "벼 재배면적 감소로 쌀 생산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증가했다. 10a당 생산량은 전년(514kg)보다 1.7% 증가한 522kg로 집계됐다. 생육 전반의 기상여건이 전년에 비해 양호하고 벼멸구등 병해충 피해가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