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석유·가스 시추를 추진한다.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 물망에 오른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유엔기후총회를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의 반친화경 정책을 강력하게 비판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이 계획을 밀어붙인다면 양측 간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내무부가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캘리포니아 연안 시추 계획을 발표할 수 있다고 해당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미국 역사상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로 기록된 1969년 샌타바버라 해상 원유 유출 사고 이후 화석연료 개발이 추진되지 않아왔다. 당시 막대한 해양 오염 피해를 본 캘리포니아가 이후 해안선에서 3마일까지 해당하는 주(州) 관할 해역에서 시추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시추권 경매가 검토되는 지역은 샌타바버라 카운티 인근 해역으로 알려졌다.
다만 뉴섬 주지사가 연안 시추에 반대하는 입장을 피력해온 만큼 트럼프 행정부도 이 같은 계획을 밀어붙이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줄곧 트럼프 행정부의 환경 정책에 불만을 드러내온 뉴섬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유엔기후총회에서 행정부의 기후 정책을 "어리석은 결정"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이날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이 기후변화를 '사기'라고 주장하며 최근 급성장하는 청정에너지 산업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중국에 시장을 내주고 있다면서 "중국이 이 분야를 장악하고 있고 차세대 글로벌 산업에서 주도권을 잡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캘리포니아주는 그렇지 않다"며 "우리는 이 분야에서 경쟁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이번 COP30에 연방정부 차원의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이는 역대 유엔기후총회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뉴섬 주지사는 전날 이와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 내에 여러분에게 존중을 보여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건 정치를 떠나 무례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한편 전문가들 역시 석유·가스 기업들이 캘리포니아 연안 시추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에너지 투자사 '피커링 에너지 파트너스'의 댄 피커링은 에너지 기업들이 이미 시추 인프라가 잘 갖춰진 루이지애나와 텍사스 연안에 높은 관심을 보일 것이라며 "캘리포니아에는 관심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