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따릉이 도입 10주년을 맞아 오는 13일부터 따릉이 '3시간 이용권'을 새롭게 출시한다. 기존 1시간권, 2시간권에 이어 장시간 이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한강과 공원 등에서 반납·재대여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관광객과 가족 단위 이용객의 수요를 반영했다.
지난 4월 출시된 '가족권'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가족권은 부모가 구매하면 13세 미만 자녀도 보호자 감독하에 이용할 수 있는 제도로, 도입 6개월 만에 3만건 이상 이용됐다. 이중 78%가 주말에 집중됐고 대여 장소로는 월드컵공원, 서울숲, 올림픽공원 등이 많아 가족 단위 주말 여가활동에 따릉이가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따릉이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5~7시)에 전체 이용의 절반가량이 집중되고, 주말에는 오후(오후1~6시)에 41.9%가 여가용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높았다. 심야시간대(오전 0~6시)에도 평일 8.5%, 주말 10.5%가 이용돼 대중교통이 끊긴 시간대 이동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늘어나는 이용에 맞춰 안전한 이용을 위해 ‘따릉이’ 차체 개선은 물론 정비체계 등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자전거 프레임을 내구성이 높은 ‘탑튜브형’으로 교체하고, 체인가드를 장착해 사고를 예방한다. 미끄럼 방지 핸드그립, 반사테이프 부착 등 세부 개선도 진행 중이다. 또 서울시설공단 인력 외에 지역 자전거점포 80개소와 협업해 신속한 정비체계를 구축했으며, 폐기 자전거 부품을 재활용해 지난해 약 2억4000만원을 절감했다.
아울러 시는 출퇴근 시간대 특정 지역의 자전거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집중관리대여소’ 330곳에 전담직원 33명을 배치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 시민이 직접 균형 유지에 참여하도록 마일리지 제도도 시행해, 혼잡 지역에서 반납하거나 부족 지역에서 대여하면 100마일리지를 적립 받을 수 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2015년 정식 도입된 따릉이는 지난 10년간 시민의 이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계속 진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 혁신을 통해 한층 안전하고 편리한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