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끝까지 차오른 가계대출 목표치…우리은행만 30% 밑도는 이유

  • 작년 패널티 경험에 내부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 맞물려

서울 중구 소재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서울 중구 소재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연말을 앞두고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연간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초과하거나 초과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은행만 유일하게 목표치의 30% 수준에 머물면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NH농협은행과 신한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금융당국에 보고한 '연간 대출 증가 목표(경영계획 기준 정책성 상품 제외)'를 초과했다.

다른 은행들도 사정은 빠듯하다.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치는 각각 목표 대비 95%, 85% 수준까지 찼다. 이들 은행은 신규 대출을 제한하고 기존 대출 상환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규모를 줄이고 있지만 증가액을 큰 폭으로 줄이기보단 목표치를 넘지 않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현실이다.

반면 우리은행은 유일하게 증가액이 목표의 30% 수준에 그쳤다. 6일 기준 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목표치의 29.5%다. 우리은행은 연중 30% 안팎을 유지하며 가계대출 관리를 깐깐하게 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우리은행이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초과해 패널티를 받았던 경험과 내부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 변화가 맞물린 '의도적 속도조절'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영업점 단위로 가계대출 취급 한도를 세밀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달부터는 주담대 취급액을 지점당 월 10억원 이내로 제한하며 물량 조절에 들어갔다. 다른 은행들이 대출 수요와 영업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과 달리 우리은행에서는 연중 '브레이크'를 밟은 셈이다.

'생산적 금융'과 맞물린 포트폴리오 전환도 영향을 미쳤다. 우리은행은 주담대에 몰린 여신 비중을 낮추고 기업대출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기업금융 명가' 재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정권과 무관하게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한도제를 운영하고 있다"며 "그 결과가 누적돼 안정적인 가계대출 관리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