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해제?… 기우이고, 정치적 발목잡기일 뿐"

  • 오세훈 서울시장 인터뷰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종묘 일대 도시계획과 세계유산 보존 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11일 서울시청 기자실로 걸어 들어오고 있다. [사진=서울시]

 최근 종묘 인근 개발 계획을 둘러싸고 김민석 국무총리, 최휘영 문체부 장관,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잇따라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명확하다. 이들의 우려는 과장된 기우이며, 정작 서울시의 장기 도시계획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정치적 반대'에 치우친 발목잡기라는 것이다.
 오 시장은 11일 "세계유산 보존과 도시 미래를 함께 이루는 모델"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세계유산 보존과 도시의 미래를 함께 이루는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종묘 세계유산의 핵심은 건물 외형이 아니라 종묘제례와 제례악이라는 콘텐츠"라며 "정전까지의 거리가 500m가 넘고, 건물 높이도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감정적인 논쟁이 아니라 과학적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운상가 철거 후 종묘에서 남산까지 100m 폭의 녹지축을 잇는 계획"이라며 "역사경관을 해치는 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유산+녹지+도시혁신'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물 높이 허용에 대해선 "민간 이익이 아니라 공공기여 확보를 통한 녹지 조성과 시민 공간 확보가 목적"이라고 말했다.
 유네스코 기준과 관련해 오 시장은 "법적 영향권은 종묘 담장 기준 100m이고, 서울시 계획은 170~190m 밖이다. 과거 유네스코 전문가 판단에서도 122m가 언급된 바 있다"며 "국가유산청이 법과 국제 기준을 넘어 과잉 해석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의 문화유산 정책을 언급하며 "흥인지문 경관 정비, 창경궁~종묘 연결, 창덕궁 앞 주유소 철거, 경복궁 월대 복원 등 서울시는 그동안 문화재를 스스로 지켜온 도시"라며 "난개발이라는 비판은 사실과 어긋난 정치적 프레임"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지금 필요한 건 정치전이 아니라 미래 도시 전략"이라며 "총리실은 갈등을 키울 게 아니라, 조정해야 한다. 언제든 토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김 총리를 겨냥했다. 그는 "서울시는 늘 보존과 혁신을 동시에 추구해 왔다. 이번 계획 역시 서울의 미래와 국가의 품격을 위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은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다. 우리는 문화유산을 지키면서도 미래 경쟁력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계획은 서울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일이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