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랑·광진·관악 모아타운 4곳 확정…5483가구 공급

  • 용도지역 상향…노후지역 도로 개선

중랑구 신내1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중랑구 신내1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중랑·광진·관악구에서 모아타운 사업 4개 지역을 확정했다. 총 5483가구 주택 공급과 더불어 주변 인프라 확충 및 용도 지역 상향이 이뤄질 예정이다.

시는 지난 10일 제16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중랑구 신내1동 493-13일대 모아타운’ 외 3건을 통과시켰다고 11일 밝혔다.

통과된 안건은 △중랑구 신내1동 493-13번지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묵2동 243-7번지 일대 모아타운 △광진구 자양2동 649번지 일대 모아타운 △관악구 청룡동 1535번지 일대 모아타운이다. 이를 통해 총 5483가구(임대 1405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중랑구 신내1동 493-13번지 일대 모아타운은 모아주택 2개소가 추진된다.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전면 상향해 사업성을 높였다. 총 878가구(임대 232가구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지역은 노후 건축물과 협소한 도로 등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했던 곳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도로 여건을 개선한다. 망우로63길 넓이를 기존 6m에서 11m로 확대한다. 당초 보행, 차량 혼용 도로였지만 양측 보도를 갖춘 진출입로로 바꾼다.

대상지 북측 송림길(6m→10m)은 인접한 경의중앙선·경춘선 상부 공원화 사업과 연계해 보행친화가로로 개선된다. 

중랑구 묵2동 243-7번지 일대 모아타운은 모아주택 4개소를 추진한다. 총 1826가구(임대 526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노후·불량 건축물 비율이 69.1%에 달하는 지역으로,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 결정으로 주거환경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근 중랑천로변 남-북 축으로 모아타운 대상지 및 신속통합기획(중화6구역) 등 개발계획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사업성 개선을 위해 기존 제2종·제2종(7층 이하)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했다. 또 모아타운 내부 주요 도로를 확폭해 교통 여건을 개선한다.

봉화산로3길(8m→12m), 중랑천로56길(6m→8m) 확폭과 함께 건축한계선 3m를 지정해 공공보행통로를 조성하고 보행친화적 환경을 만든다. 묵현초·신묵초 인근 통학로변 보도를 확폭·신설한다. 

 

광진구 자양2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광진구 자양2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광진구 자양2동 649번지 일대(9만 5352.8㎡)는 모아주택 5개소를 통해 총 2325가구(임대 583가구 포함) 단지로 거듭난다.

이번 계획에서는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 마련시 용도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하도록 했다.

이 지역은 노후건축물 72.9%, 반지하 주택 61.3%에 이르는 노후 저층 주거밀집지역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했던 곳이다. 이에 뚝섬로54길을 기존 6m에서 14m로, 인근 도로는 최대 12m까지 확폭하고  보도를 신설한다.

구역 내 어린이공원(1768㎡)도 새로 만든다. 기존 사회복지시설 자양노인복지관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다.

관악구 청룡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관악구 청룡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관악구 청룡동 1535번지 일대(9만 2420.1㎡)는 모아주택 4개소를 통해 총 454가구(임대 64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이 지역은 분절된 도로체계와 높은 경사로 개발이 어려웠으나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으로 체계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마찬가지로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에서 용도지역을 상향해 사업성을 확보하고, 건축한계선(3~5m) 지정 및 신설 도로계획으로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쑥고개로변 저층부에는 근린생활시설을, 장군봉5길·7길변 저층부에는 공동이용시설을 조성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모아타운 4곳 확정으로 노후 저층주거지가 5483가구 쾌적한 생활공간으로 거듭나게 된다”며 “용도지역 상향, 도로 확폭, 생활 SOC 확충 등 적극적인 지원으로 주거환경 개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