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홍수·가뭄·폭염 등 기후 위기로 터전을 잃은 거주 난민이 2억5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에 거의 책임이 없는 이들이 피해 구제 기금의 도움을 받지 못해 구조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유엔난민기구(UNHCR)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 '탈출은 없다Ⅱ: 나아갈 길'에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기후 위기로 인한 대규모 난민 발생 사례로 작년 5월 브라질의 히우그란지두술주 폭우를 언급했다. 당시 기록적인 폭우로 181명이 숨졌고 58만 명이 집을 잃었으며, 그중에는 베네수엘라·아이티·쿠바 출신의 취약계층 난민 4만 3000명이 포함돼 있었다. 이들은 홍수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UNHCR은 기후 위기가 심화하면서 분쟁·폭력·강제 이주 등 기존의 불평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후 위기가 악재를 더 악화하는 '위험 증폭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 세계 거주 난민의 절반 가까이가 분쟁과 기후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분쟁·기후 위기를 동시에 겪는 국가는 2009년의 3배로 늘었으며 대부분 수단·시리아·콩고민주공화국·레바논 등 정치적으로 취약한 지역에 집중돼 있다.
UNHCR은 난민과 이주민은 종종 불안정한 물리적·정치적 여건 속에서 살고 있으며 기후 위기에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계층에 속하지만 위기의 원인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거주 난민의 4분의 3이 기후 위기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피해가 반복되는 경우도 많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어 기후 재정의 4분의 1만 지원받고 있다고 짚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아프리카의 차드가 꼽혔다. 차드는 현재 140만 명 이상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를 수용하고 있지만 지난해에만 홍수로 130만 명 이상의 추가 거주 난민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 15년간 발생한 난민 규모를 웃도는 수치다.
전쟁으로 피폐해진 수단 출신 난민들은 하루 10리터 미만의 물만 공급받고 있어 비상 상황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기후 재앙을 억제하고 빈곤국을 돕기 위한 근본적인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50년이 되면 가장 더운 난민 캠프는 연간 200일 가까이 '위험한 열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 있으며 일부 지역은 사실상 사람이 살 수 없는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UNHCR은 오는 브라질 COP30 기후회의에서 기후 협상자들에게 대체로 무시되고 빠르게 성장하는 이 인구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필리포 그란디 UNHCR 최고 대표는 "거주 난민이 늘어나는 것을 막으려면 기후기금이 벼랑 끝에 선 공동체에 닿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을 홀로 내버려 둘 수는 없다. 공허한 약속이 아닌 실질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