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규제를 비켜간 지역에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0%가량 급감한 것과 달리 비규제 지역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는 등 수요가 비규제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규제 지역에서 거래량이 급감하는 것과 달리 비규제 지역에서는 거래량이 오히려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표적인 풍선효과 예상 지역으로 지목된 화성시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16일 규제 발표 이후 이달 8일까지 아파트 거래가 총 892건 발생했다. 규제 전 같은 거래일 동안 645건 발생한 것과 비교해 38.3%나 크게 늘어난 것이다.
다른 비규제 지역은 거래량이 비슷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남양주시 아파트 거래량은 352건에서 330건으로 소폭 줄었고 구리시는 178건에서 175건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포시는 198건에서 160건으로 소량 감소하는 데 그쳤다.
반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0·15 대책 발표 이후 약 80% 급감한 상황이다. 서울 전역이 대출 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이다.
비규제 지역에서는 거래가 유지되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3일 기준) 구리 아파트값 상승률은 0.52%로 직전 주(0.18%)보다 세 배 가까이 확대됐다.
이에 구리시 대장주로 꼽히는 인창동 ‘e편한세상인창어반포레’ 전용 84㎡는 지난달 27일 12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화성시는 0.26% 오르면서 61주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하며 비규제 지역으로 온기가 퍼지고 있다.
규제를 피한 인천 아파트 상승률은 0.02%에서 0.05%로 높아졌다. 서구(0.09%)는 청라·가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동구(0.07%)는 송현·송림동 위주로, 미추홀구(0.07%)는 용현·학익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규제가 집중된 서울 지역 상승세는 둔화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 폭은 0.04%포인트 줄었다. 성동·마포구가 각각 0.29%, 0.23%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강북·도봉·노원구 등도 0.01~0.03%의 미미한 변동률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일부 상승거래가 있었지만 매수 문의가 감소하며 전반적인 관망세가 짙다고 분석했다.
청약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감지된다. 규제에서 자유로운 김포에서는 ‘풍무역푸르지오더마크’가 17.4대 1, ‘김포풍무역세B5블록호반써밋’이 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했다. 중도금·잔금 대출 한도 축소와 가구주 청약 제한 등 규제를 피해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이유로 시장에서는 정부의 전방위 규제가 오히려 비규제 지역으로 수요 이동을 부추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동탄 신도시 내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서울은 규제 지정 이후 거래 자체가 멈췄을 것”이라며 “반사이익이 다른 지역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