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유의·부실 우려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는 20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19조2000억원)보다 1조6000억원 늘었다.
유의·부실 우려 사업장의 약 52.7%(12조6000억원)는 지난 1년 동안 재구조화·정리 절차를 밟았지만 건설경기 부진, 지방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인해 개선세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시장 불안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구원은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주담대 증가세가 둔화하겠지만, 주택 매수자들이 신용대출 등 비담보대출까지 추가로 활용할 경우 금융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담대를 포함한 전체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 2분기 말 기준 1953조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는 1%대를 웃돌면서 부실화 우려가 확대되는 중이며,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도 상승세다.
연구원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제적인 위험 관리와 취약부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원은 대외 금융 위험 요인으로 △글로벌 달러 약세 △유럽 재정 불안 △엔화 변동성 우려를 꼽으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