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와 경상남도교육청이 내년도 학교급식비 단가 인상과 로컬유학 활성화 등 주요 교육 현안 7건에 대해 최종 합의했다.
경남도는 6일 ‘2025년 경남교육행정협의회’를 열고 도와 교육청이 공동으로 추진할 교육정책 방향을 논의한 결과, 학교급식 식품비 단가를 물가 인상률 3.85%를 반영해 120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급식비 재원은 지난해 합의된 비율에 따라 도 20%, 시·군 30%, 교육청 50%가 분담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질 높은 급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도 교육청은 경남교통문화연수원 프로그램에 학생 참여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청소년 진로탐색 교육과 연계해 도내 민간정원을 진로 체험 학습장으로 활용하도록 협력키로 했다.
e스포츠가 2026년 전국소년체전 정식종목으로 채택될 경우, 교육청은 경남 대표 학생선수의 훈련비와 입상 학생·지도자에 대한 장학금 및 포상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을 확대 개편한 ‘로컬유학 활성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 사업은 기존 군 지역의 소멸 위기 마을과 폐교 직전 학교에 한정됐던 지원 대상을, 시 단위 내 학생 수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교들까지 포함해 범위를 대폭 넓혔다.
사업의 핵심은 지역 소멸 대응에 있으며,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 특색을 반영한 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지방 학교의 생존과 활성화를 꾀한다.
아울러, 아동학대 신고 의무와 관련한 교사 보호 방안도 함께 논의돼, 교사의 역할과 권리를 균형 있게 보장하는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시·군이 과태료 처분을 내리기 전, 사례 판단 과정에서 교사와 아동의 입장이 균형 있게 반영되도록 정보연계 협의체를 통한 시군-교육(지원)청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밖에 농어촌 학생 통학 편의 제공과 공립학교 교육환경 개선 등 22개 사업이 포함된 3887억원 규모의 2026년 교육비특별회계 세출예산안도 공동 합의됐다.
경남도 관계자는 “재정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우선적으로 보장하겠다”며 “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