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기존에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잘 찾아주는 사업자였다면, 이제는 잘 찾아주는 것은 넘어 수행까지 해줄 수 있는 에이전트 서비스로 네이버 정체성을 바꾸겠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6일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 기자간담회서 '에이전트N'의 방향성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공개한 '에이전트 N'은 네이버의 서비스와 콘텐츠,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한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다. 단순히 추천이나 제안을 넘어, 실제 행동까지 연결할 수 있는 '실행형 에이전트'를 지향한다.
김 COO는 "올해 4분기부터 조금씩 보여지게 될텐데, 내년 1분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에 쇼핑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내년 여름 쯤 통합 검색에 에이전트를 적용한 AI 탭이 출시될 예정"이라면서 "이를 통해 네이버의 에이전트N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김 COO와의 일문일답이다.
Q>해외 사업자와 비교해 네이버의 온서비스AI 전략의 차별화 포인트는
A> 대표적인 해외사업자로 챗GPT나 구글을 떠올릴 수 있는데, 이들 모두 직접 쇼핑 서비스를 하고 있지 않다. 물론 크롤링을 해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은 가능하지만, 서비스의 사용 흐름에서 딱 적절한 순간에 도와주는 그런 형태의 접근과 실행은 네이버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지금은 에이전트 초창기인데, 사용이 늘수록 사람들은 정말로 믿을 수 있는 서비스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신뢰라는 게 정말 큰 자산이 될텐데, 네이버는 해외 사업자와 비교해 이런 측면에서 큰 강점이 있다.
Q> AI 에이전트를 외부 서비스와도 연동한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구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게 있나
A> 구글이든 챗GPT든 어떤 에이전트 서비스가 동작하더라도 결국엔 외부 서비스와 연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네이버는 이미 서비스 생태계를 잘 갖추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실행할 수 있고, 네이버 플랫폼은 외부와 잘 연동될 수 있는 기반이 있다고 본다. 파워링크나 검색 광고 등 모든 외부 사이트들도 네이버와의 연동이 훨씬 쉽게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네이버 내부 서비스 뿐 아니라 외부 서비스를 연동해 이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해 나가겠다.
Q>내년 여름에 공개 예정인 AI탭의 구체적인 모습이 궁금하다
A>AI탭이 물어보는 거에 대해서 정보를 찾아서 답변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걸 대신 실행해 주는 걸 원하는 것 같다라고 판단되면, AI탭 내에서 '이런 것들을 대신 실행해 드릴까요?', '이런 옵션들이 있는데 이런 옵션을 바로 수행해 볼까요?'라고 제안하고 실행까지 연결되는 경험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Q> 에이전트N의 글로벌 진출 계획은
A> 지금 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해외에 나갈 수는 없다. 한국 네이버에서 보여지는 에이전트N과 미국이나 일본에서도 서비스하는 네이버 웹툰에서 선보이는 에이전트N, 미국의 포시마크나 스페인 왈라팝에서 보여지는 에이전트는 전부 다 다른 형태일 것이다.
네이버는 서비스화를 잘하는 기업이다. 이러한 에이전트N의 사용 경험과 노하우, 기술력들이 축적되면 자연스럽게 포시마크, 왈라팝, 네이버웹툰 등 글로벌 서비스들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것으로 기대된다.
Q>쇼핑 에이전트 출시 일정이 당초 계획과 달리 내년으로 연기된 이유?
A>우선 연기된 것에 대해선 내부적으로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우선 쇼핑 도메인 뿐 아니라 좀 더 통합적인 관점에서 네이버 전체가 바뀌어야 한다는 고민이 들었다. 쇼핑 단독이 아닌, 금융 에이전트, 정보성 검색 에이전트, 로컬 에이전트 등 이런 것들이 통합적으로 동작하려면 에이전트 설계방식을 바꿔야 했다. 이러한 부분들을 반영하다 보니 전체 시스템 구조나 설계가 바뀐 부분이 있었다.
또 쇼핑 에이전트를 만들기 위해선 쇼핑 도메인에 최적화한 모델이 필요했고, 그 모델을 내부적으로 실험하고 기술적인 확인을 거치는 등 완성도를 높임과 동시에 통합 에이전트 프레임을 가져가기 위해 출시 시기를 조정하게 됐다.
Q>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통합 에이전트는 언제 확인할 수 있나
A>내년 여름 AI탭을 통해 하나씩 선보일 예정이다. 에이전트라고 하는게 어느날 갑자기 나와서 내가 필요한 수만가지 일을 동시에 잘 수행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일례로 물건을 구매할 때, 어떤 카드로 결제하고 어떻게 배송받을 지 등 여러 과정을 거치는 데 이러한 부분을 하나하나 에이전트로 구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네이버의 정체성을 에이전트로 바꿔나가는 게 회사의 지향점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