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지난 2021년 기준 76곳이었던 지역서점이 올해 현재 95곳으로 늘어나 약 25%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특히 전주지역에는 자체적으로 문화 행사를 운영하거나 다양한 개성을 가진 동네책방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동네책방은 지난 2021년 10곳에서 올해 현재 19곳으로 90% 늘어났다.
이러한 반전은 시가 동네책방을 단순한 ‘책을 파는 가게’가 아닌 ‘생활문화 거점’으로 재해석한 결과물로 평가를 받고 있다. 그 결과 도서관 이용과 서점 방문을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으며 책을 읽고 서점을 찾는 새로운 독서 흐름이 만들어졌다.
지난 2021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전주시립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때 권당 50포인트가 적립되고, 동네서점에서 도서를 구매할 때 도서 정가의 20% 할인과 함께 대출로 적립된 포인트를 도서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책쿵20’ 서비스에 가입한 시민은 약 3만3500명으로, 이들이 구매한 도서는 총 54만5000권에 달한다.
특히 책쿵20을 통해 올해만 약 22억5000만 원 규모의 도서가 지역서점을 통해 판매되면서 시민의 독서 참여 확대는 물론, 지역서점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시가 운영하는 ‘전주도서관여행’ 코스에도 동네책방들이 포함돼 시민과 책 여행자들은 ‘도서관해설사’와 함께 도서관과 복합문화공간을 둘러보며 책을 통해 도시를 ‘읽는 여행’을 즐기고 있다. 이 여행을 통해 책 문화를 즐기는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동네서점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등 지역서점과의 연계 효과를 높이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과가 동네서점이 지속가능한 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추진해 온 결과물로 분석하고, 앞으로도 로컬 북페어와 지역 작가 연계 프로젝트 등 시민이 일상에서 책과 문화를 더 가까이 만날 수 있는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운수종사자·시민 위한 ‘북부권 교통안전쉼터’ 마련
이 사업은 해당 지역에 별도의 공중화장실이 없어 택시 운수종사자와 시외·고속버스 이용객들이 장시간 대기 중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됐다. 노상 방뇨 등 위생 관련 민원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도 담겨 있다.
새로 조성된 북부권 교통안전쉼터는 총 50㎡ 규모(쉼터 16㎡, 화장실 32㎡)로, 운수종사자 휴게공간과 남녀 화장실, 테이블, 정수기, 냉·난방기, 도서, 휴대폰 충전기,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출입관리시스템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쉼터는 택시 운수종사자들의 근로시간을 고려해 매일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개방되며, 공용화장실은 연중 24시간 개방된다.
시는 이 공간을 택시기사 뿐만 아니라 하루 평균 2500여 명의 시외·고속 버스 승하차 이용객, 전주월드컵경기장 방문객, 인근 지역 시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복합형 편의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