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정보시스템 복구율 95.3%...위기경보 '심각→경계' 하향

  • 오전 6시 기준 709개 중 676개 정상화…대전센터 복구 20일까지 완료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됐던 정부 행정·민원시스템 복구율이 95%를 넘어가자, 정부가 위기경보 단계와 대응 체계를 하향 전환했다.

6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 709개 중 676개(95.3%)가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40개) 모두 복구가 완료됐고, 2등급 시스템 역시 전체적인 복구율은 95.6%(68개 중 65개)이나 '안전신문고' 등 국민 생명·안전과 관련한 시스템은 모두 정상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 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각각 3등급 94.3%(261개 중 246개), 4등급 95.6%(340개 중 325개)다.

특히 지난달 31일 '정보공개시스템'이 복구돼 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공개 청구하고 사전 공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119소방현장통합관리시스템'도 복구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소방력과 자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효율적인 현장 지휘가 가능해졌다.

정부는 국정자원 대전센터에서 복구하는 모든 시스템(전체 693개)은 오는 20일까지 모두 가동되도록 복구 작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시스템은 다음 달까지 복구 완료를 목표로 인프라 구성, 응용프로그램 이관 등을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날부터 위기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대응체계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윤호중 장관)에서 위기상황대응본부(본부장 김민재 행안부 차관)로 전환하고 주기적인 점검회의에서 복구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 생명·안전과 직결된 1·2등급 시스템이 모두 복구돼 위기경보를 하향하지만 모든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민께 신뢰받는 AI(인공지능) 민주정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부 정보시스템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