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힘, 지방을 키우다] 맞춤형 사업하는 농어촌공사...재능 나눔으로 지역에 온기

  • 수도권에서 주변 논 있는 나주로 이동

  • 본사 이전 후 농촌 관련 사업 적극 시행

  • 나주에도 변화…정비사업 시행·취업자 증가


나주시

2014년 전라남도 나주로 본사를 이전한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건물 15층에 올라가면 수십만 평의 논이 한눈에 들어온다. 수도권에 있던 농어촌공사가 농촌으로 옮겨오면서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사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본사 이전을 단행한 지 10년이 지나면서 지방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2014년 10월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에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빛가람혁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했다. 본사와 함께 직원 778명도 나주로 내려왔다. 당시 박재순 농어촌공사 사장은 착공식에서 “공사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와 함께 한국 농어업을 이끌어 갈 중심축이 되겠다”고 말했다.

농어촌 관련 사업을 집행하는 공사의 특성상 지방 이전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많다. 행정법상 농촌은 읍 또는 면 소재 지역을 의미한다. 나주시는 송월동과 빛가람동 등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면 지역이며, 전체 인구 중 농가 비중(약 18%)도 높다. 수도권에서 떨어져 있던 공사가 농촌 중심지로 옮겨오며 현장 밀착형 행정이 가능해진 셈이다.

본사 이전 이후 농어촌공사의 농촌 관련 사업도 늘어났다. 공사는 2015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나주 등 농촌 지역의 노후주택과 교량 등 기반시설이 정비되면서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농업 기반을 뒷받침하기 위한 노력도 활발하다. 농어촌공사는 농식품부와 함께 상주·김제·밀양·고흥 등을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지정해 첨단 농업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 또 농어가 대상 재생에너지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2030년까지 2.0GW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농어가에 보급해 온실가스 120만t을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나주시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공사 이전 이후 나주 지역에 필요한 농업 기반사업 집행이 늘어났다. 농어촌공사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157억원을 투자해 배수개선사업을 진행 중이다. 영농 과정의 불편이 줄고, 여름철 호우 피해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용 창출 효과도 크다. 공사는 올해 신입사원 228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직원들의 사회공헌 활동도 지역사회에 온기를 더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직원들은 지난달 나주 포두·동녕 마을에서 ‘공동체 공간 개보수 활동’을 진행했으며, 산포면 산포초등학교에서는 잡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화이트클로버 모종 이식 행사를 열었다.

공사와 함께하는 대학생들도 농촌과 더 가까워지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2015년부터 대학생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는 대학생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사 이전으로 농어촌공사가 농촌 현장에 한층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은 국정과제 추진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다. 대표적인 예가 이재명 대통령의 ‘햇빛연금’ 공약이다. 이 대통령은 농가에 태양광 설치를 지원하고, 그 수익을 주민과 공유하는 정책을 약속했다.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은 국정감사에서 “태양광 발전의 이익이 주민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공사 자체 태양광사업의 주민 환원 비율은 약 5% 수준이지만, 새로 추진하는 모델에서는 이 비율을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