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5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최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상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우수 연구자를 매달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제도다.
한 교수는 '평화와 발전을 위한 세계과학의 날(11월 10일)'을 맞아 친환경 암모니아 합성을 위한 고성능 촉매를 성과를 인정받아 선정됐다.
암모니아(NH₃)는 액화가 쉽고 수소 저장 밀도가 높아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를 장기간 저장하거나 장거리 운송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하버-보슈 공정은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하고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한계가 있다.
최 교수는 이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루테늄(Ru) 촉매와 산화바륨(BaO) 조촉매를 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지지체에 배치해 양전하와 음전하를 따로 저장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기존 최고 수준 대비 7배 이상 높은 암모니아 합성 성능을 보였다. 저온(300도)·저압(10기압)의 온건한 조건에서 실질적 활용이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카탈리시스에 게재됐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촉매 반응의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큰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촉매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산업적 활용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친환경적 암모니아 합성 기술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하여 식량, 에너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