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총장 "핵추진 잠수함, 2030년대 중반 이후 건조 완료"

  • 안규백 장관 "핵추진잠수함, 4척 이상은 있어야"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이 3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전날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핵추진 잠수함 추진과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이 3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전날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핵추진 잠수함 추진과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이 핵추진 잠수함(핵잠) 건조에 1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강동길 총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국감에 출석해 핵잠으로 유력한 ‘장보고-Ⅲ 배치-Ⅲ’ 건조 시기를 묻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건조 착수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결정이 난다면 10여 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결정하더라도 (건조 완료 시기는) 2030년대 중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총장은 향후 건조가 추진될 핵잠 크기에 대해 “5000톤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고 핵잠 연료에 대해선 “평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면 (우라늄) 농축 정도가 20% 이하 정도로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핵잠 도입 규모와 관련한 질문에 “해군과 협의해야 하겠지만 4척 이상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유지훈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은 “핵잠 건조 승인은 정치적 차원에서 중대한 결단이지만 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실질적 진전을 위해선 미국의 이해관계와 전략, 특히 조선업과 해군력 재건을 위한 ‘마스가’(MASGA) 구상, 유지·보수·정비(MRO) 협력과의 연계를 포함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의 핵잠 건조 요청 승인에 대해 즉각 환영의 뜻을 밝혔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 결정은 대한민국 방어에 있어 우리 군의 주도적 역할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이 사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