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는 2028년 승용 수소전기차 'iX5 하이드로젠' 모델의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iX5'는 배터리 전기차(BEV), 디젤, 가솔린,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 5가지 파워트레인으로 거듭나고 있다. 라트 부사장은 "2년 넘게 수소 시스템을 연구하며 기술 성숙도를 확인했다"며 "다만 충전소 인프라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시장 여건이 맞물리는 2028년을 상용화 시점으로 잡았다"고 말했다.
BMW는 토요타와 손잡고 iX5 하이드로젠 3세대에 들어갈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출력과 1회 충전 주행 거리를 늘리고 에너지 소비는 줄이는 게 골자다. 그는 "현재는 토요타에 연료전지만 조달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시스템 전체를 함께 개발하고 조달할 계획"이라며 "양사는 에너지 시스템과 사회적 비전까지 공유하며 규모의 경제를 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트 부사장은 신형 iX5 하이드로젠의 핵심 특징으로 소형화와 공동개발을 꼽으며 "기존보다 크기는 25% 작아졌고, 성능과 효율 모두 높아진다"며 "이전 2세대는 BMW가 단독으로 개발했지만, 3세대는 도요타와 역량을 결합한 공동개발 체계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수소차 세계 판매 1위 현대자동차에 대한 평가도 내놨다. 그는 "현대차는 수소차 양산과 충전소 확대에 매우 적극적"이라며 "유럽에서 추진 중인 하이모스 프로젝트에서도 협력 중이며, 한국 내 네트워크 확충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BMW는 2017년 다보스포럼에서 수소위원회를 창설하고 승용 수소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라트 부사장은 "BMW의 목표는 완전한 탈탄소"라며 "배터리 전기차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고, 희귀 금속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면 수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는 전혀 다른 가치사슬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고 기업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