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를 유치하는데 실패했지만 ‘그래픽처리장치(GPU) 집적’을 지목하며 정부에 후속 방안을 촉구했다.
광주시는 AI 생태계의 지속 성장을 위해선 GPU 집적이라는 본질은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은 하루 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을 만나 "국가 AI 컴퓨팅센터가 삼성SDS와 함께 전남 해남에 조성되더라도 이와 별개로 광주에 컴퓨팅 자원을 집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김 정책실장이 이번 사안을 AI 생태계 중심이 아닌 산업적 관점에서 바라봐 대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접점을 찾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우상호 정무수석 등을 통해 "광주에 한 약속은 지킨다"면서 미래산업 대안 마련을 예고했지만 아직 정책 접근 방식에 이견이 있는 셈이다.
광주시는 지난 5년간 4300억 원 규모로 국가 AI 데이터센터·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1단계), 올해부터는 2단계로 6000억 원 규모의 실증 사업(AX 실증 밸리)을 시작했다.
문제는 AI와 고성능 컴퓨팅 수요 증가로 현재 GPU 용량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기존 AI 데이터센터는 2019년 계획 기준으로 연산 능력 88.5PF·저장용량 107PB 인프라를 갖춰 1천 개 기업 동시 지원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으나 불과 몇 년 사이 한계에 봉착했다.
광주시 한 관계자는 "GPU 인프라가 있었기에 기업과 인재가 모여드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었는데,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로 추가 GPU 확보가 막힌다면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또 "1단계에 투입된 막대한 예산이 매몰 비용이 되지 않도록, 상위 단계 GPU 확충이 꼭 필요하다"며 "정부 국정과제인 AI 모빌리티 국가 신도시 등 도시 규모 실증도 대용량 연산 집적이 선행돼야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특정 명칭의 센터 유치가 아니라 실질적 GPU 집적이목표고 이는 속도와 집적이 필요한 현 시점에 가장 적합한 정책이자, 기업 수요 대응과 1단계 성과 연속성을 위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방법론은 정부가 고민해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만으로도 광주에 충분히 GPU 자원을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정지성 인공지능산학연협회 회장(에스오에스랩 대표)은 "정부가 2030년까지 GPU 최대 20만 장 확보를 목표로 올해 1만3000 장을 전국 데이터센터에 분산 배치했고 내년에는 2만 장을 구매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 2만 장을 광주에 배치하기만 해도 광주를 AI 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국정과제를 실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GPU 2만 장을 설치하려면 최소 전력 30~40㎿와 고효율 냉각 시스템이 필수인데, 광주는 AI 컴퓨팅센터 유치 준비 과정에서 이를 갖춰왔다"며 "광주 AI 생태계를 집적화하고 그 속도를 올리는 것이 대한민국의 AI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다 같이 사는 길"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