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CJ ENM, '엠넷플러스'로 글로벌 잘파세대 팬심 잡는다

  • 론칭 3년 만에 누적 가입자 4000만 명↑, 월 최고 MAU 2000만

  • 내년 콘텐츠 투자 4배 늘려…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시장 확장

사진CJ ENM
28일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이 상암 CJ ENM 사옥에서 열린 '잘파세대 파고든 엠넷플러스, 글로벌 플랫폼으로 날다'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CJ ENM]

"엠넷플러스를 이미 케이팝(K-POP)에 빠져든 코어 팬 뿐 아니라 '라이트 팬덤', 더 나아가 이제 막 관심을 가지게 된 '글로벌 잘파 세대'까지 아우르는 콘텐츠 플랫폼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은 28일 상암 CJ ENM 사옥에서 열린 '잘파세대 파고든 엠넷플러스, 글로벌 플랫폼으로 날다' 간담회에서 이같은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 부장은 "K-POP 콘텐츠 시청을 넘어 팬이 직접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는 '경험 플랫폼'으로 가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022년 론칭한 엠넷플러스는 3년 만에 누적 가입자 4000만 명을 넘어섰다. 최고 월간활성이용자수(MAU)도 2000만 명, 최고일간활성이용자수(DAU)도 762만 명을 기록했다. 올해 영상 콘텐트 조회수도 1억4000만회를 넘겼다. 

김 부장은 "이 같은 성과는 '콘텐츠 플랫폼으로 리포지셔닝'한 덕분"이라며 "채널 '엠넷'의 프로그램을 라이브스트리밍하며 이용자들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CJ ENM에 따르면 전체 이용자 중 90%가 1020세대, 약 80%가 해외 이용자다. 올해 기준 국가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중국이 21%, 한국이 20%, 일본이 18%로 한중일에서 50% 넘는 성과를 보였다. 연령별 분포도를 살펴봐도 10대가 55%, 20~24세가 24%, 25~29세가 12%로 나타났다.

엠넷플러스는 내년부터는 북미, 오세아니아, 유럽까지 팬층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콘텐츠 투자도 4배로 늘린다. 김 부장은 "매우 의미 있는 투자"라면서 "더 양질의, 더 재미있는, 더 새로운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보하겠다"고 했다. 

이용자 체류 시간을 높이기 위한 ‘팬터랙티브(Fantractive)’ 전략에도 속도를 낸다. 김 부장은 "K-POP 팬들은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만들고 아티스트를 키워내는 ‘소비자이자 생산자’"라며 "함께 즐기고 영향력을 발휘하길 좋아하며, 자발적 전도사가 되고 싶어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엠넷플러스를 이런 '팬심의 기록 공간'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표' 기능도 한층 강화한다. '스트릿 맨 파이터(스맨파)'처럼 투표 순서나 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는 등, 투표 자체를 하나의 게임·경험으로 설계했다.

또 지하철 광고 등 팬 서포트 문화를 디지털 플랫폼 안으로 확장하고, 디지털 포토카드 제작 기능도 도입한다.

김 부장은 "팬을 단순 시청자가 아닌 '참여자'로 전환해 플랫폼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런 참여형 콘텐츠가 라이트 팬덤을 코어 팬덤으로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