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오른쪽)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2025.10.14[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새 주인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공개경쟁 입찰 마감 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인수자를 찾지 못한 상황이다. 청산 시 고용 붕괴 등 후폭풍이 거세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정치권에서는 ‘농협 역할론’에 군불을 때고 있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매각 주관사 삼익PwC를 통해 오는 31일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한다.
지난 2일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내고 인수자를 찾고 있는 홈플러스는 당초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인수합병(M&A)을 추진했다. 우선협상대상자를 먼저 선정한 후, 제시한 가격을 기준으로 다시 공개입찰을 진행해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는 희망자가 있는지 찾는 방식이다. 하지만 홈플러스는 우선협상대상자를 찾지 못했고 결국 공개경쟁 입찰 방식으로 전환했다.
홈플러스가 인수 의향자를 계속 찾지 못할 경우 11월 10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시한을 추가로 연장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인수 난항’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홈플러스의 자금 사정도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8월 모든 점포의 전기요금 사용료를 체납하는 등 자금 사정이 어려워진 상태다.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한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약 10%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홈플러스 인수 후보로 거론돼 온 농협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분위기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지난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는 가락시장 거래액의 3분의 1인 연 1조8800억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다”며 “(홈플러스 청산은) 단순 기업 문제가 아닌 국가 농산물 유통망 붕괴의 신호”라고 말했다.
송 의원은 “농협과 홈플러스 간 거래액만 4072억원에 달해 농협유통의 연간 적자인 500억~600억원보다 훨씬 큰 실익이 있다”며 “농협이 단순히 인수 여력 부족을 이유로 손을 놓는 것은 현황 파악이 부족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어기구 농해수위 위원장도 “홈플러스 청산 시 소상공인과 협력업체를 포함해 30만명이 길바닥에 나앉게 된다”며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인수를 검토해 보라”고 촉구했다.
다만 농협은 정치권이 기대하는 ‘구원투수 역할’에 선뜻 호응하긴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국감에서 “홈플러스의 어려움을 잘 알지만 농협의 어려움도 있다”며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