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가운데 연 3% 이상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없다. 지난 9월 초만 해도 3%대 정기 예금 상품이 196개에 달했지만 두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전멸했다. 지난주까지 3.00% 금리를 유지했던 경북 머스트삼일저축은행도 이번주에 2.9%로 인하했다. 이날 기준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72% 수준에 머물렀다.
저축은행 예금금리 급락은 구조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 잔액이 정체되면서 자금을 끌어올 필요성이 줄어든 것이다. 예금이 늘수록 예대율과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조와 국내 경기 둔화 전망까지 더해지며 저축은행권 금리 인하에 속도가 붙었다.
이런 영향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여전히 늘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저축은행 수신 잔액은 102조3866억원으로 100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9월 초 예금자보호 한도 상향(5000만원→1억원) 이후 안정자산 선호가 강화되면서 예금 이탈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은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방어하지만, 저축은행은 조달이 과잉 상태라 금리를 낮춰도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다"며 "대출 여력이 제한된 상황에서 고금리를 유지하면 수익성만 악화되기 때문에 당분간 금리 경쟁보다 유동성 안정과 리스크 관리에 무게를 둘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