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7개 은행권의 DSR 미적용 대출은 107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18조원)보다 11조원 감소한 수치다. DSR 미적용 대출에는 정책모기지와 서민금융, 전세자금, 중도금·이주비 등이 포함된다.
DSR 미적용 대출이 감소한 것은 올해 금융당국이 집값 상승세를 꺾기 위해 가계대출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당국은 올 3월부터 지난달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등의 여파로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운용의 묘'를 살리라며 대출 조이기를 주문했다. 또 올해 5월 전세 자금 대출 보증 비율 감축에 이어 6·27 규제 대책, 7월 DSR 3단계 시행을 예고하자 은행들은 대출 빗장을 걸어 잠그다가 결국 정책대출까지 조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역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서울 집값 누적 상승률은 3.4~4.5%다. 그러나 올해는 되레 정책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정부의 금융정책이 정권 변화에 따라 일관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현재의 가파른 집값 상승세 역시 지난해 무분별한 정책풀기 기조 때문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조이면서 정책모기지까지 예외 없이 관리대상으로 보고 있다"며 "정책모기지는 신용도가 낮은 실수요자의 최후의 수단이지만 정책방향이 정부 색깔 따라 바뀌다 보니 금융권도 대응 전략을 세우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6·27 대출 규제 이후에도 9·7 부동산 대책, 10·15 부동산 대책이 이어지면서 정책대출을 포함한 DSR 비적용 대출 총량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금융정책의 일관성 없는 정책이 시장 혼란과 가계대출 관리의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민환 인하대 교수는 "가계대출을 줄여야 한다는 기조에는 공감하지만 손바닥 뒤집는 듯한 당국의 정책은 가계대출 관리와 주택시장 안정을 실패하게 할 것"이라며 "실수요자가 역차별 받지 않도록 정책의 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금리 인하 등 실질적으로 집값을 잡을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