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자지라 방송에 따르면 하마스 정치국 위원 무함마드 나잘은 2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하마스가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전쟁을 중단시키기 위한 목표로 트럼프의 제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곧 이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마스를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의 대표라고 칭하며 "팔레스타인인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의견을 표명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이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을 시간이라는 칼이 목을 겨누고 있다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익명의 하마스 관계자는 3일 AFP에 "하마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대해 여전히 논의 중"이라며 "협의하고 있지만 시간이 필요하다고 중재국들에 통보했다.
이와 관련해 하마스가 트럼프의 제안에 대한 수정안을 역제안할지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이날 사우디 매체 아샤르크 뉴스 등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구상이 카타르 도하에서 이뤄진 하마스와 튀르키예, 이집트, 카타르 대표단의 회담에서 수정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아샤르크 뉴스는 이 회담 참가자들이 "미국 계획의 수정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라고 전했으나 어떤 조항이 변경될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29일 즉각적 휴전과 인질 전원 석방, 하마스 무장해제, 트럼프가 수장인 평화위원회의 가자 임시 통치, 이스라엘군의 단계적 철수 및 국제안정화군(ISF) 배치 등 20개 항목을 담은 '가자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이스라엘의 하마스 궤멸 작전에 협조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이튿날에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응답할 시간을 "3∼4일 줄 수 있다"고 압박했다.
하마스가 트럼프의 제안에 대해 아직 명시적으로 수락 또는 거부 의사를 내놓지 않았다. 중재국인 이집트와 카타르는 하마스가 이를 받아들이도록 설득 중이며, 일부 사항에 대해서는 추가 협상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