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AI 기반 비정형 제품 크레인 자동 운송 기술 상용화

  • AI+IT+OT 기술 융합…특수 크레인 자동화 기술 개발

포스코 제철소가 AI 기반 비정형 제품 크레인 자동 운송시스템을 개발했다 사진포스코DX
포스코 제철소가 AI 기반 비정형 제품 크레인 자동 운송시스템을 개발했다. [사진=포스코DX]

포스코그룹이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을 접목한 비정형 제품 크레인 자동 운송 시스템을 개발, 제철소 현장에 본격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제철소 생산·물류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적용 대상은 최대 8톤에 달하는 선재 코일이다. 선재 코일은 크기와 포장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위치 인식과 운송 제어가 까다로운 제품군으로, 자동화 난도가 높은 영역으로 꼽혀왔다.

포스코DX는 라이다(LiDAR) 센서와 AI 영상인식 기술을 결합해 코일의 중심점과 치수를 정밀 측정하고, 크레인 후크의 진입 위치·깊이를 자동 계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현장 검증 결과 오차 ±20mm, 탐지율 99.5%를 기록하며 안정성을 입증했다.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은 ‘안티스웨이’ 제어 기술로 최소화했다. AI가 로프 길이에 따른 흔들림을 예측·보정해 작업 속도와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라이다 기반 충돌 방지 시스템을 도입해 작업자·차량의 이동을 실시간 인식하고, 위험 발생 시 크레인 운행을 자동 중단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해당 시스템에는 라이다 전문기업 아이요봇의 3D 센서가 활용됐다.

포스코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제철소 내 다른 공정으로 자동화 기술을 확산할 계획이다. 특히 후판 등 또 다른 비정형 제품을 대상으로 한 자동화 기술도 검증을 진행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비정형 제품 자동 운송을 구현하며 인텔리전트 팩토리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며 “AI·로봇 기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안전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