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입국 3000만을 넘어 글로벌 관광대국’ 비전을 내놓고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발표했다. 핵심은 △제2·제3 인바운드 관광권 육성 △K-미식 등 문화 체험 강화 △수용태세·결제·패스 개편 △국내 반값여행·근로자 반값휴가 확대 △관광법 체계 전면 개편과 AI·데이터 기반 산업 혁신이다. 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하이커그라운드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렸다.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브리핑에서 “K-컬처 확산으로 도약 기회를 맞았다. 수도권 편중 해소와 체류·소비 확대를 위해 구조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연내 지자체 수요조사와 범부처 선정위를 거쳐 수도권 외 4극(동남·대경·중부·호남)과 3특(제주·강원·전북 특자) 중 2곳 안팎을 선정해 인바운드 거점으로 육성한다.
인바운드 혁신으로 의료·웰니스·마이스 등 3대 고부가 시장을 집중 육성한다. 의료관광 우수유치기관 기준을 완화하고, 웰니스 관광거점 조성·전문인력 양성으로 ‘K-웰니스’ 브랜드화를 추진한다. 국제회의 참가자 대상 입국 간소화는 기준을 ‘500명→300명’으로 낮춰 10월부터 정식 시행한다.
수용태세는 입국부터 결제·이동·입장까지 전 과정을 손본다.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1년 연장한다. 외래객 전용 ‘교통+입장권’ 통합 관광패스를 2026년 도입하고, 여권 인증 등 인증방식 다원화와 자국 결제시스템을 활용한 간편결제를 확산한다. 바가지요금 등 품질관리도 강화한다.
내국인 관광 활성화를 위해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방문 시 경비 50%를 환급하는 ‘반값여행’을 확산하고, 연박·섬 숙박 할인권을 신설한다. 근로자 반값휴가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무장애 관광자원 데이터 구축 및 ‘핫스팟 가이드’ 제공으로 이동·정보 접근성을 높인다. ‘여행가는 달’ 캠페인은 ‘지역 살리기 범국민 여행 캠페인’으로 확대된다.
정책·산업 기반도 전면 개편한다. ‘관광기본법’ 전부개정, ‘관광진흥법’의 ‘관광산업법’·‘지역관광발전법’ 분법을 추진한다. 1993년 도입된 관광특구는 ‘글로벌 관광특구’ 중심으로 재편하고, 축제는 선택·집중 원칙으로 ‘글로벌 축제’ 육성에 초점을 둔다. 관광개발 예산은 포괄보조금으로 전환하고, 지자체·민간이 주도하는 지역관광펀드와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확산한다.
디지털 전환도 강화한다. 정부·지자체·민간에 흩어진 관광데이터를 통합·개방해 초개인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관광공사의 13개 채널을 ‘비지트코리아’ 단일 채널로 통합한다. 2026년 100억원 규모의 관광 분야 AI 특화펀드를 조성하고, 기존 바우처에 AI·로보틱스 도입 유형을 신설한다. 내국인 공유숙박 제도화, 외국인 관광객 숙박 부가세 환급 연장 등 제도 합리화도 병행한다.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지난 24일 사전브리핑에 참석해 "정부 주도에서 지자체·민간 주도로 전환해 성과관리에 집중하겠다"며 "관광혁신 3대 전략을 충실히 이행해 2030년까지 외래 3000만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