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은 "한국이 '두 국가 해법'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중동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를 주재하며 "두 국가 해법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의에는 노르웨이 총리, 그리스 외교장관 등 안보리 이사국 및 비이사국 다수의 고위인사가 참석했다.
조 장관은 "가자 상황 및 인도적 위기가 국제평화와 안보의 중대한 도전이라고 하면서, 가자지구 내 기근 발생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아울러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자유로운 인도적 접근이 즉시 보장돼야 한다"며 "이스라엘의 가자 내 지상 작전 및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 재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조속한 휴전과 인질 석방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날 유엔총회장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2개의 주권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선언했다.
이후 조 장관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등이 참석한 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3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러시아 드론의 폴란드 영공 침공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장이 우크라이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민간인과 민간시설에 대한 무차별 공격이 국제 인도법 위반"이라면서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또 조 장관은 "우크라이나의 주권, 독립, 영토보전을 지지한다는 우리 입장을 재확인하고, 우크라이나 민간인의 고통을 덜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왔으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표하고, 러시아와 북한 간 탄도미사일 및 무기 이전, 병력 파견 등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임을 지적했다.
특히 "이는 국제 비확산 레짐을 훼손하고 전쟁을 장기화하며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안보에도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와 북한에게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