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1동 고용노동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고용노동부는 24일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시에서 경상북도-자동차부품 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경상북도와 주요 지자체, 자동차부품 원청사·협력사가 함께 참여했다.
경북-자동차부품 상생협력 모델은 네 번째 지역 주도 모델로, 산업 공급망 전반에 상생 문화를 확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대차·기아의 1차 협력사들이 2·3차 중소 협력사의 인력·복지·생산성 등 격차 완화와 처우 개선을 지원해 산업 전반에 상생 문화가 뿌리내리도록 돕는 구조다.
상생협력을 위한 협약에는 근로자 복지, 안전한 일터 환경 조성, 기술과 인력 확보를 위한 과제들이 마련됐다. 원청과 협력사는 격차 해소를 위한 과제를 발굴·이행하고, 정부는 행정·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한다.
경북 도내 협력사 근로자 160명에게는 장기재직 장려금이 지급된다. 협력사 기업들에는 자율제안형 복지(24건), 안전·보건 환경 개선(21건), 안전 물품 지원(60건), 수익성 및 품질 개선(12건)의 지원이 이뤄진다.
협약 과제 이행에는 지역 상생 거버넌스도 참여한다. 영남대 등 지역대학과 연구기관, 협회 등 다양한 주체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산업 특성과 노사관계를 반영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유진 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산업 경쟁력 강화는 노사 상생과 동반 성장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며 "원하청 상생협약을 통해 상생과 협력의 가치를 확인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찾아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생협약이 확산돼 지역과 업종을 넘어 노동시장 전체가 원하청 상생 구조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정부는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는 등 필요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경북-자동차부품 상생협력 모델은 네 번째 지역 주도 모델로, 산업 공급망 전반에 상생 문화를 확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대차·기아의 1차 협력사들이 2·3차 중소 협력사의 인력·복지·생산성 등 격차 완화와 처우 개선을 지원해 산업 전반에 상생 문화가 뿌리내리도록 돕는 구조다.
상생협력을 위한 협약에는 근로자 복지, 안전한 일터 환경 조성, 기술과 인력 확보를 위한 과제들이 마련됐다. 원청과 협력사는 격차 해소를 위한 과제를 발굴·이행하고, 정부는 행정·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한다.
경북 도내 협력사 근로자 160명에게는 장기재직 장려금이 지급된다. 협력사 기업들에는 자율제안형 복지(24건), 안전·보건 환경 개선(21건), 안전 물품 지원(60건), 수익성 및 품질 개선(12건)의 지원이 이뤄진다.
김유진 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산업 경쟁력 강화는 노사 상생과 동반 성장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며 "원하청 상생협약을 통해 상생과 협력의 가치를 확인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찾아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생협약이 확산돼 지역과 업종을 넘어 노동시장 전체가 원하청 상생 구조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정부는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는 등 필요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