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확산 속 가자전쟁 종식안 제시 전망

  • 인질 석방·전쟁 종식·이스라엘군 철수·하마스 배제 전후 통치 구상 등 논의

  •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과 다자 회담…악시오스 "가장 구체적 제안 될 것"

  • 프랑스 등 주요 서방국들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백악관 "트럼프, 동의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계기로 아랍·이슬람권 지도자들과 회동하고 가자전쟁 종식과 전후 가자지구 통치에 대한 미국의 원칙을 제시할 전망이다. 주요 서방국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확산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서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 이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파키스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요르단 정상과 다자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날 미 정치전문 매체 악시오스는 복수의 미·아랍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열리는 다자 회담에서 가자지구 평화와 전후 거버넌스에 대한 미국의 원칙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악시오스는 전쟁 종식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까지 내놓은 가장 구체적인 제안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제안에는 하마스의 이스라엘 인질 석방과 전쟁 종식 방안 외에도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 하마스가 배제된 전후 통치 구상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또 아랍·이슬람권 국가들이 가자에 군대를 파견해 이스라엘군 철수를 가능케 하고, 재건과 전환기에 필요한 재원을 지원하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22일 “가자지구 평화유지군 파견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 미국 고위 관계자는 악시오스에 “내일 회의가 전쟁 종식 로드맵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우리가 생각하는 유일한 현실적 해법을 성공시키려면 지역 국가들의 지지와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안은 이스라엘의 요구와는 별개로 마련된 ‘미국의 독자적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이스라엘 소식통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도 미국의 계획에 대해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향후 가자 참여 문제 등 일부 내용은 이스라엘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가 삼켜야 할 쓴 알약들”이라고 말했다.
 
이번 유엔총회를 계기로 서방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선언도 확산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총회에서 열린 두 국가 해법 논의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며 “이제 때가 왔다. 중동에 대한 우리나라의 역사적 약속, 그리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에 대한 약속에 충실하기에, 오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한다고 선언한다”고 밝혔다.
 
각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흐름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전날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이 국가 승인을 선언했고, 22일 오전에는 벨기에, 룩셈부르크, 몰타 등도 합류했다. 이로써 193개 유엔 회원국 중 팔레스타인의 주권을 인정하는 국가는 150개국 이상으로 늘었고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국가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5개국만 남았다.
 
레빗 대변인은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서방국들이 잇달아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인정한 데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밝혀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솔직히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