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그러나 인하 폭이 트럼프 대통령의 눈높이에 못 미친 가운데 앞으로도 금리 인하 압박이 계속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연준은 17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종전 4.25~4.50%에서 4.00~4.25%로 25bp(1bp=0.01%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 만이자 올해 1월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금리 인하이다. 또한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표시한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말 기준금리 중간값은 3.5%~3.75%로 연내 2차례(각각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인하에 대해 “리스크 관리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연준은 그동안 트럼프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등을 우려해 금리를 동결해 왔지만 최근 고용지표의 연이은 부진으로 경기 우려가 커지자 금리 인하로 선회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인하 폭이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못 미쳤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BBC는 이번 조치가 금리를 1%까지 낮춰야 한다고 주장해 온 트럼프 대통령을 만족시키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회의에 첫 참석한 '트럼프 경제 책사'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유일하게 50bp 인하를 주장했고, 점도표에서도 마이런 이사로 추정되는 한 위원이 연내 금리를 2.75~3%까지 낮출 것을 제시했다.
아울러 19명의 연준 위원 중 7명이 향후 금리 동결 혹은 인상, 12명이 금리 인하를 예상하면서 의견 분열이 심화된 모습도 나타났다. 이에 향후 금리 예측도 한층 어려워진 모습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향후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연준 내) 의견 분열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파월 의장은 매번 조심스러운 결정으로 연준의 독립성을 지켜야 하는 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