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금융당국과 카드업계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정보 유출 범위와 피해 규모를 확인하는 현장조사를 이날 마무리한다. 금감원은 18일 해당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정부 차원에서 대책회의가 진행될 계획이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도 직접 간담회 등을 통해 대국민 사과와 피해 대책을 발표한다.
당초 롯데카드는 약 1.7GB(기가바이트) 수준의 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다만 롯데카드는 '고객 정보 유출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국회 보고 자료에서 "카드 정보 등 온라인 결제 요청 내역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며 민감한 고객정보 유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또한 금융당국 관계자도 "피해 규모가 알려진 것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특히 카드정보와 결제내역은 단순 이름·전화번호 유출과 달리 2차 범죄로 직결될 위험이 높다. 염흥렬 순천향대 교수는 “카드정보와 결제 내역이 빠져나갔다면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아 카드 교체가 시급하다”며 “거래 패턴과 소비 내역이 드러나면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도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롯데카드가 이번 결과 발표에서 카드 교체 등 실질적 조치 외에 고객 보상 방안까지 담을지도 주목된다. 앞서 SK텔레콤은 해킹 피해 후속 조치로 이용자에게 한 달간 T멤버십 할인 혜택을 제공한 바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통신사와 금융사의 해킹 사고가 잇따라 국민 불안이 크다"며 "보안 사고를 반복하는 기업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 등 강력 대응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이번 사건은 소비자 보호 강화를 내세운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취임 이후 발생한 첫 금융사 해킹사고라는 점에서 감독당국의 대응과 후속 대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전날 카드사 CEO들을 만나 “비용 절감을 통한 단기 실적에만 치중한 반면 보안 투자는 소홀했던 것 아니냐”며 “정보보호 지출은 단순 비용이 아니라 금융사 생존을 위한 필수 투자”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