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월풀, 韓 세탁기 등에 "세관 신고가 낮춰 관세 회피" 의혹 제기

  • 정식 고발은 하지 않았지만 세관 당국 등에 전달

미국 매장에 진열된 세탁기들 사진AFP연합뉴스
미국 매장에 진열된 세탁기들 [사진=AFP·연합뉴스]

미국 생활가전업체 월풀이 한국 삼성전자·LG전자 등 해외 경쟁업체들이 ‘언더밸류’(수입품 가치를 실제보다 낮게 신고하는 행위) 수법으로 관세를 회피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월풀은 수입 서류에서 생성된 연방정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6월부터 미국에 반입된 일부 가전제품의 세관 신고가격이 급락했다고 주장했다.

월풀의 의혹 제기 대상이 된 주요 업체는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 그리고 원래 미국 기업이었던 'GE 어플라이언시즈'의 현재 모회사인 중국의 하이얼이다.
 
WSJ가 월풀이 제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중국산 음식물 처리기의 평균 수입신고가는 올해 1~5월 21달러(약 2만9120원)였으나 6월에는 9달러, 7월에는 8달러 미만으로 내려갔다. 태국산 가스레인지는 평균 175달러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한국산 세탁기는 838달러에서 73달러로 급락했다.
 
월풀은 해당 수입 가전제품들의 소매가격이 신고가격 하락과 연동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 제품에는 13~60%의 수입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회사는 이러한 의혹을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등 정부 당국에 전달했지만, 정식 고발 절차는 밟지 않았다고 밝혔다.
 
월풀의 의혹 제기에 대해 삼성전자는 언급을 피했고, LG전자는 “모든 미국 법률과 규제를 준수한다는 방침이 확고하다”고 설명했다고 WSJ은 전했다.
 
GE어플라이언시즈는 “관세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월풀의 주장은 부정확하다”고 반박했다. 예컨대 월풀이 자사가 특정 의류 건조기를 수입했다고 지적했지만 실제로는 그런 제품을 들여온 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GE 어플라이언시즈는 "우리는 경쟁의 가치를 인정하고 경쟁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유익하다고 믿지만, 월풀의 이번 공격은 자신들의 실적이 뒤처지는 데 따른 분풀이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월풀의 주가는 수요 부진으로 인해 올해 들어 20% 하락했다.
 
월풀은 과거에도 삼성·LG가 세탁기를 헐값에 판매했다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세이프가드를 청구한 바 있다. ITC는 2017년 한국산 세탁기 수입 급증이 미국 산업에 피해를 줬다고 판단했고, 당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한국산 세탁기를 포함한 외국산 대형 세탁기에 대해 최대 50% 관세를 3년간 부과하는 세이프가드 조치를 승인했다. 이는 삼성과 LG가 미국 현지에 세탁기 공장을 설립하는 계기가 됐다.
 
다만 세관 중개업체 카고트랜스의 넌지오 데 필리피스 공동 CEO는 “신고 오류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철강 품목에 새 관세가 도입되면서 신고가 복잡해져 수량 중복 입력 등으로 단가가 실제보다 낮게 보였을 수 있다”며 “이례적 통계가 포착되면 CBP가 중개업체에 확인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