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韓, 14년만에 역전된 가격 경쟁력... 관세·IRA·공장 지연 '3중고' 놓인 車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산 자동차 및 부품 관세가 16일부터 15%로 낮아진다. 반면 한국은 아직 미국과 무역 합의에 대한 행정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해 당분간 일본보다 10%포인트 높은 관세를 부담하는 상황에 몰렸다. 여기에 9월 30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종료와 한국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 대한 미국 이민당국의 구금 사태까지 겹치면서 당분간 자동차 시장을 둘러싼 악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이달 16일부터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부과되는 미국 관세는 기존 27.5%에서 15%(기본관세율 2.5%+품목관세 12.5%)로 인하된다. 반면 한국은 아직 25%의 관세율을 적용 받고 있다. 한미 무역합의는 아직 '구두 합의' 단계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일본과 한국의 자동차 관세율이 역전된 건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처음이다.
 
한국과 일본의 관세율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지면서 업계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도요타 캠리의 경우 2만9000~3만6000달러, 혼다 어코드는 2만8000~3만1000달러 수준에 판매된다. 경쟁 모델인 현대차 쏘나타(2만6500~3만7000달러), 기아 K5(2만7000~3만5000달러)와 비교하면 한일 가격 경쟁력은 비슷하거나 일본이 조금 더 높다. 이 상태에서 한국 자동차 관세율이 일본보다 10%포인트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실제 현대차그룹이 지난 2분기에 지출한 관세 비용은 1조6140억원(현대차 8280억원·기아 7860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3분기로, 이 같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3분기에는 현대차그룹이 부담할 관세 비용이 2조원이 넘어설 수도 있다는 게 업계 추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2분기에는 관세 시행 전 대미 수출 물량을 최대한 선적해 재고를 확보했기 때문에 실제 (관세)영향권에 든 기간은 많지 않았다"면서 "반면 3·4분기는 아예 대응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리스크가 더 클 것"이라고 했다. 현대차그룹은 일단 미국 내 가격 인상 없이 관세리스크를 기업이 최대한 흡수한다는 전략이다.
 
오는 30일부터는 최대 7500달러(1045만원)에 달하는 미국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이 종료된다. 여기에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완공 지연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도 시장 불확실성을 키운다.  미국 싱크탱크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IRA 폐지에 따라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연간 27%(31만 7000대) 감소가 예상된다. 미국에 생산기지를 둔 제조사의 전기차 판매량은 최대 37%(약 31만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른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연간 전기차 판매량 감소분은 약 4만5000대로, 매출액 기준 19억5508만 달러(2조7200억원)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한미 무역합의에 대한 행정 조치라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과의 관세율 역전 기간이 길어질수록 한국 완성차와 부품사들이 감내해야 할 고통은 커진다"면서 "하루빨리 관세 합의를 명문화해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미국 측에 약속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조성과 운영 방식, 수익 배분 등을 두고 미국과 세부 사항 합의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직접 투자비중을 최대한 낮추기를, 미국은 직접 투자 비중을 높이라고 요구하고 있어 당분간 양측의 입장치는 지속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