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 수석은 이날 KBS '사사건건'에 출연해 “이런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훨씬 좋았겠지만 오히려 숙원 사업이었던 비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계기가 생겼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저분들의 조기 석방을 위해 노력했고, 향후 과제인 재발 방지를 위해선 결국 비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똑같은 조건에서 다시 (미국에) 들어가면 또 연행되지 않겠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후속 조치로 비자 문제 타결을 위해 협상 중이고, 큰 틀에서 방향은 잡았다고 본다”며 “실무적으로 어떤 비자를 어떤 방식으로 발부할 것인지까지 체계적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보고 받았다”고 설명했다.
우 수석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해 풀어준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리더십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숙련 인력의 미국 잔류를 제안한 데 대해 “숙련된 전문가들, 기술이 있는 분들인지 모르고 일반적인 불법 취업자라고 생각했던 모양인데, 저희가 잘 해명하니 꼭 필요한 숙련된 분들이면 굳이 돌아갈 필요 없이 미국에 남아있어도 좋다고 권유해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억류돼 있던 분들이 한국에 와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재정비하고 다시 (미국에) 들어가고 싶어해 (귀국하는 것으로) 조정했다”고 부연했다.
우 수석은 검찰개혁 후속 과제와 관련해선 “이제 어떻게 기능을 조정해야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고 사법 시스템을 안정시킬지가 과제”라며 “정부가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검찰의 나쁜 행태 극복에 주된 관심을 가지다가 바뀐 시스템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보완수사권을 폐지하거나, 그대로 두면 어떤 문제가 생길지 돌아보고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대통령의 ‘내란특별재판부’ 발언과 관련해선 “(이 대통령 언급의) 주된 취지는 내란특별재판부를 하라, 하지 말라는 입장 표시가 아니라 위헌이라는 일부 주장에 대한 반박”이라며 “국민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대통령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