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장남, 美시민권 포기하고 해군 장교로 입영… 39개월 복무(종합)

  • 재계 "노블리스 오블리주 평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아주경제DB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아주경제DB]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지호씨가 139기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오는 15일 입영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호씨는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복수 국적을 갖고 있지만,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해군으로 입대하기로 했다. 지호씨는 입영 후 경남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11주간 △제식 △전투기술 △기본소양 등 장교가 되기 위한 교육훈련을 거쳐 12월 1일 해군 소위로 임관할 예정이다.

훈련기간과 임관 후 의무복무기간 36개월을 포함한 군 생활 기간은 총 39개월이다. 지호씨의 보직과 복무 부대는 교육훈련 성적, 군 특기별 인력 수요 등을 감안해 임관 시 결정된다.

지호씨는 2000년 미국에서 출생한 선천적 복수국적자다.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경우 한국 국적을 버리고 병역을 면제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호씨는 병역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일반 병사에 비해 복무 기간이 2배 이상 긴 대한민국 해군 장교의 길을 선택했다.

삼성전자 측은 "'복수국적자'로서 선택할 수 있는 특권을 과감하게 버리고 순수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한민국의 영해를 지키는 해군 장교의 길을 걷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보유한 병역의무 대상자가 자원 입영을 신청한 사례는 한 해 평균 100여명에 불과하다. 일반 대한민국 청년들도 군 생활 기간이 39개월에 달하는 장교보다는 일반 병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에 따라 지호씨의 '미국 시민권 포기 및 장교 근무 선택'이 알려지면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병역 자원 자체가 부족한데다 근무 기간이 길고 고달픈 장교 근무를 기피하는 상황에서 지호씨의 선택은 여러모로 귀감이 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소식에 국내 기업의 오너가 자녀의 병역 의무 이행 사례가 다시금 회자되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장남 정해찬씨는 미국 코넬대에서 호텔경영학을 전공하고 2021년 11월 육군 현역 입대해 2023년 5월 제대한 바 있다.

최태원 SK 회장의 둘째 딸 최민정씨는 병역 의무가 없는데도 2014년 해군사관학교 후보생으로 자원입대했다. 2015년 청해부대 19진에 속해 아덴만에 파병된 데 이어 2016년에는 서해 최전방 북방한계선(NLL)을 지키는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해외에서도 장교 복무를 선택한 주요 기업인들이 모범적인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례로 주목 받은 바 있다.

스웨덴 대기업 발렌베리그룹의 창업주 가문인 발렌베리가는 창업자 앙드레 오스카르 발렌베리를 필두로 5대, 170년에 이르는 동안 경영에 참여한 가문의 일원들이 해군 장교로 복무해온 전통이 있다.

또 세계적 물류기업 페덱스를 창업한 고(故) 프레드릭 W. 스미스 회장은 레스토랑 체인 등 여러 사업을 운영하던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으며 1966년 예일대 졸업 후 해병대 장교로 4년간 복무하며 베트남전에도 참전한 바 있다. 스미스 회장은 1971년 페덱스를 창업해 사업을 고속 성장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