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겨냥해 “정치쇼”라며 맹비판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8일 화중과학기술대학 국가관리연구원의 왕펑 연구원이 기고한 ‘한국과 일본의 지원사격으로 미국은 조선업을 부흥시킬 수 있는가’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본질적으로 미국의 ‘조선업 재건’은 정치적 쇼로, 조선 산업에 대한 미국 유권자 정서에 대한 응답이자 아시아 동맹국들과 단결하는 모습을 대외적으로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 등이 마스가 프로젝트를 지원한다고 해도 이미 쇠퇴한 미국 조선업을 부흥시키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일본과 한국을 끌어들인다고 하더라도 프로젝트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완료될 가능성이 작다”면서 “미국 산업의 취약점과 법적인 제약으로 조선 역량이 단기간 폭발적인 형태로 회복되긴 어렵다”고 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의 (건조) 능력은 제한적이며, 미국을 대신해 산업을 재건하는 중책을 맡을 수도 없다”면서 “미국이 진정으로 세계 조선업 무대 중심으로 돌아가려면 동맹국의 일시적 지원이 아니라 자체 산업 체계의 심층적인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 조선업의 근본적인 문제는 노동자 고령화와 청년 인력 부족, 긴 작업 훈련 기간, 취약한 공급망과 정부의 반복적인 수요 조정 등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그러면서 “반대로 중국과 한국 조선소들은 안정적인 수출 물량과 국가 산업 정책에 힘입어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며 “이같은 격차는 단순한 외부 투자로 좁히기 어렵다”고 했다.
왕 연구원은 이어 "한일 양국에 희망을 거는 것은 미국의 근본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길이 아니다"라면서 "이들 조선소는 2028년 전후까지 주문이 밀려있어 미국으로 이전할 생산 여력이 전혀 없다"고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