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 대표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과 첫 오찬 회동하는 자리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대통령께서 거부권을 행사해서라도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장 대표가 언급한 '더 센' 특검안은 기존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상병)의 수사 기간·범위·인력을 확대하고, 재판을 일반에 공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른바 '내란특별법'은 국민의힘을 제외한 국회·판사회의·대한변호사협회가 각각 3명씩 추천한 인사가 특별재판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장 대표는 동시다발로 이뤄지는 특검 수사가 자칫 '정치보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그는 이 대통령에게 "오랫동안 되풀이된 정치보복 수사를 끊어낼 수 있는 적임자가 이재명 대통령"이라고 했다.
장 대표는 특히 이 대통령에게 기업 활동 보장과 청년 고용 정책, 건설 경기 활성화,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조정 등 민생경제 현안도 건의했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는 "민생과 경제를 위해 대통령께서 정부와 여당, 야당이 함께 머리를 맞댈 수 있는 소통 창구를 만들어 주고 그 소통 창구를 계속 열어 달라"고 요청했다.
이 같은 장 대표 제안으로 여·야·정이 민생경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협의체에서는 양당이 지난 대선 때 공통으로 추진하겠다고 하는 공약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며 "국민 여러분이 민생에서 개선 시급하다고 하는 부분이 (주로 논의)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회동을 두고 '협치 의지'는 서로 확인됐지만 특검·내란특별법 등 핵심 쟁점은 여전히 평행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당내에서도 이 대통령이 특검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은 데 대해 불만을 표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이날 의원총회에서 "이 대통령이 야당과 만나는 것을 단순히 보여주는 '쇼통'이 되지 않고 진정한 소통이 된다 했을 때 절대 다수를 점하는 여당의 3대 특검 개정안과 특별재판부 추진을 정리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