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탄소중립경제특별도 위상에 걸맞게 이산화탄소(CO₂)를 에너지와 연료로 전환하는 차세대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
8일 보령화력에서 열린 ‘그린올(Green-ol) 신에너지 기술 실증’ 시연회에는 김태흠 충남지사, 김동일 보령시장,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영조 한국중부발전 사장, 서규석 충남테크노파크 원장,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원장, 김노마 LG화학 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그린올은 KIST가 개발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로, CO₂를 전기·물·미생물 등과 반응시켜 △그린 에탄올 △메탄올 △플라스틱 원료 △지속가능 항공유(eSAF)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투입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면 추가 탄소 배출 없이 친환경 화학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탄소중립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번 보령 실증은 △충남도(사업비 20억 원 전액 지원) △보령화력(CCU 포집 이산화탄소 제공) △KIST(원천 기술 제공) △LG화학(플랫폼 구축 및 상용화 연구) 등 산·학·연·관 협력으로 추진됐다. 실증 플랫폼은 하루 300kg의 CO₂를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200kg의 CO로 전환 중이며, 이는 2023년 독일의 6kg 규모보다 50배 이상 큰 세계 최대 실증 사례로 기록됐다.
생산된 일산화탄소는 바이오 공정을 거쳐 항공유의 일종인 헥산올로 전환되며, 정확한 양은 후속 실증을 통해 검증될 예정이다.
충남도는 이번 성과가 ‘CCU 메가프로젝트’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보령화력과 서산 한화토탈 에너지스 사업장이 부지로 선정된 상태다.
그린올 상용화가 본격화되면 △탄소 배출 저감 △수입 메탄올 대체 △친환경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석유화학산업의 신성장 동력 확보 △eSAF 시장 선점 등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이 위치한 만큼 탄소 배출 1위의 오명을 안고 있다”며 “이번 실증은 충남이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국내 화학·에너지 산업 체질을 바꾸고, 서해안을 탄소중립 산업 중심지로 탈바꿈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년 전 세계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5%를 CCU가 담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충남의 이번 행보는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경쟁에서 의미 있는 선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