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부진에 빠진 테슬라...인도 시장에서도 '주춤'

  • 테슬라, 인도 시장 진출 초반 성적 기대 이하

인도 뭄바이의 테슬라 매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도 뭄바이의 테슬라 매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테슬라가 인도 시장에 공식 진출한 이후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지난 7월 중순부터 인도에서 판매를 시작한 뒤 약 600대의 주문만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테슬라가 올해 상반기 세계 시장에서 약 4시간마다 판매한 차량 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글로벌 성장 전망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인도에 약 350~500대의 차량을 수출할 계획이며 이 중 첫 물량은 이달 초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해 인도에 도착할 예정이다. 인도 내 차량 인도는 초기에는 뭄바이, 델리, 푸네, 구루그람 등 4개 도시로 한정될 전망이다.
 
당초 테슬라는 올해 인도 시장에서 연간 2500대의 판매 목표를 세운 바 있지만 현재까지의 주문량은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테슬라는 브랜드 인지도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영향력,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 등을 발판으로 인도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그러나 머스크 CEO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공개적 갈등, 양국 관계 악화, 인도의 높은 관세, 가격에 민감한 인도 소비자 특성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판매 부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테슬라가 인도에 선보인 모델Y 기본형의 가격은 수입 관세 등의 영향으로 600만 루피(약 6만8000달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도 내 전기차 주류 가격대인 220만 루피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으로 대부분의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편, 자동차 데이터 업체 JATO 다이내믹스의 자료에 따르면 경쟁사인 중국 전기차업체 비야디(BYD)는 올해 상반기 동안 인도에서 약 1200대 이상의 SUV ‘시라이언 7’을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모델의 시작가는 약 490만 루피로, 테슬라에 비해 훨씬 경쟁력 있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들어 차량 인도량이 2개 분기 연속 전년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는 등 부진한 흐름을 보인다.
 
인도에서 전기차는 전체 자동차 판매의 약 5%를 차지하고 있어 시장 성장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가격 경쟁력과 관세 등의 장벽이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