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2020=100)로 1년 전보다 1.7% 올랐다. 지난 5월(1.9%)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1%대로 내려선 것이다. 상승폭 역시 지난해 10월(1.3%) 이후 9개월 만에 최소 상승이다.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요금 일시 감면 영향이 크다. 앞서 SK텔레콤은 해킹 사고에 대한 고객 보상 프로그램 중 하나로 지난달 요금의 절반을 감면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료가 1년 전보다 21.0% 내려섰다. 전체 물가에 미친 영향만 0.59%포인트에 달한다.
휴대전화료 일시 하락에 따라 공공서비스 물가가 1년 전보다 3.6% 하락했다. 2020년 10월(-6.0%) 이후 최대 하락폭을 나타낸 것이다.
석유류 가격도 1년 전보다 1.7%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키웠다.
반면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4.8% 상승했다. 지난해 7월(5.5%) 이후 1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전체 물가 상승률의 0.37%포인트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농산물(2.7%), 축산물(7.1%), 수산물(7.5%) 가격이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쌀 물가는 2024년 1월(11.3%)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큰 11.0% 상승했다. 배추는 4.8%, 감자는 7.6% 상승했다. 돼지고기(9.4%), 국산쇠고기(6.6%) 등 축산물뿐만 아니라 고등어(13.6%) 등 수산물 물가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가공식품 물가 역시 4.2% 오르면서 전체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빵(6.5%), 커피(14.6%), 햄및베이컨(11.3%), 김치(15.5%) 등이 올랐기 때문이다.
이 심의관은 "채소는 폭염 등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상승 전환한 가운데 수산물 역시 재고량 감소 등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며 "축산물은 소·돼지고기 도축마리 감소, 수입물량 감소 등으로 상승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편성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물가 영향과 관련해서는 "수요 측면에서 일부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물가의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로 활용하는 방식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는 1.3%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2.1% 상승하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신선식품 중 신선어개는 8.0% 상승한 반면 신선채소는 0.9%, 신선과실은 0.1% 각각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