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 외교무대 첫 등장하는 김정은…북·중 관계 밀착하나

  • 외교부 "북·중 관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 기대"

  • 양무진 교수 "북한이 북·중·러 3각의 키맨 역할을 하고자 할 것"

  • 임을출 교수 "김정은 中 방문은 한반도 정세 주도권 잡기 위한 승부수"

  • 정성장 부소장 "러-우 전쟁 이후 대비 필요…북·중 관계 복원 필요 시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게 된다면 이는 김 위원장이 다자 외교무대에 처음으로 서게 되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은 열병식을 비롯해 다자 외교무대에 많이 참석했지만,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 위원장 본인은 다자 무대에 선 적이 없다.

북한은 28일 김 위원장이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세계대전) 승전(전승절) 80돌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혔다. 동시에 중국 측도 이날 김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 26명이 기념행사에 참석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다음 달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기념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톈안먼 광장 성루에 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동안 소홀했던 북·중 관계가 이번 전승절을 계기로 탄력받을지 주목된다. 외교부는 이날 북한이 전승절 행사에 김 위원장이 참석한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북·중관계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나가길 기대한다"며 "우리는 남북 간 대화와 협력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북측의)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과 관련해 한·중 간 소통을 지속해 왔으며, 상기 사실은 관계기관의 정보를 통해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 위원장이 전승절에 참석하는 것을 두고 "최근 한·미·일 3각 협력에 따른 대응, 북·러에 이어 북·중관계 개선 시동, 북·중·러 사회주의 연대 과시, 북한이 3각의 키맨 역할 등을 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전격적인 중국 방문은 김 위원장의 한반도 정세 주도권을 잡기 위한 승부수로 볼 수 있다"며 "북·중, 북·러 정상 간의 반파쇼 연대는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맞대응 성격이 내포되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미, 한·미·일의 대북 비핵화 압박 공조 무력화 등을 겨냥한 빅카드"라며 "푸틴 방북으로 북·중·러 3국 정상 간 회담도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에 대한 협상이 시작된 점을 고려해 북한도 러-우 전쟁 이후에 대비할 필요가 발생했다"며 "러-우 전쟁 이후에도 북·러 간 협력 분위기는 계속 유지되겠지만, 북한으로서는 지금까지의 '특수'가 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에 북·중 관계의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