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 여전히 영향력 큰데…케이블 송출수수료 인상률 최저

  • 케이블TV 송출수수료 가장 낮아 2024년 기준 5.6%

  • 송출수수료 체계 재설계 필요 있어

사진한국케이블TV협회
28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홈쇼핑-유료방송 분쟁 해소 및 합리적 해결 방안 모색' 세미나가 열렸다. [사진=한국케이블TV협회]

유료방송 플랫폼 중 케이블TV 가입자가 TV 홈쇼핑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데 가입자당 송출수수료는 가장 낮게 부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윤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28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연론학회 주최로 열린 '홈쇼핑-유료방송 분쟁 해소 및 합리적 해결 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케이블TV는 실제 소비자 기여도에 비해 다른 유료방송보다 낮은 송출수수료를 받고 있다"며 "소비자 실제 이용 행태와 행동 패턴 등 홈쇼핑 판매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반영한 현행 산정 체계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 20~59세 남녀 59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케이블TV 전송 방식 가운데 8VSB 가입자는 월평균 2.2회 상품을 구매해 QAM 가입자(1.8회)보다 많았으며, IPTV(1.7회), 위성방송(1.7회)보다도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응답자의 80.6%가 제품을 처음 인지한 채널로 TV홈쇼핑 방송을 꼽았다. 관심 형성 응답은 80.1%, 구매 의도 형성 응답은 79%로 집계됐다. 반면 인터넷·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기여율은 평균 18.7%, 지인 추천이나 후기 등 기타 요인은 1.4%로 조사됐다. 

TV홈쇼핑의 송출수수료를 재설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난해 기준 TV홈쇼핑사가 유료방송사업자에 지급한 가입자당 송출수수료 증감률(2018년 대비)을 살펴보면 IPTV는 59.2%. 위성방송은 15.4% 늘어났지만 케이블TV는 5.6% 증가에 그쳤다. 

정 교수는 이에 따라 △제 3의 중립 기관 통한 산정 체계 투명성과 일관성 강화 △모바일·웹 전환 구매 반영 △사업자 간 협상 한계 보완하는 협상·분쟁조정 시스템 고도화 △데이터 기반 정책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만제 원광대 교수는 "홈쇼핑 방송을 통해 판매된 방송 상품과 직접 연계한 모바일 판매 등을 송출수수료 산정에 포함해야 한다"며 "유료방송 생태계 지속 가능성을 위해 중소기업 상품 편성 제한 및 판매 제한 품목 완화, 재승인 절차 간소화 등의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